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영상 플랫폼 의 미래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공황 끝

나스닥 -3% 후 한달이 지났으므로 공황이 끝남

오늘 새벽 6시에 애플 매수 시작!!!

  •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 공황이 끝나면 미국 일등 주식인 애플을 매수한다.
날짜 종가 상승률
2021년 1월 29일 13,070.70 -2.00%
2021년 2월 1일 13,403.39 2.55%
2021년 2월 2일 13,612.78 1.56%
2021년 2월 3일 13,610.54 -0.02%
2021년 2월 4일 13,777.74 1.23%
2021년 2월 8일 13,856.30 0.57%
2021년 2월 8일 13,987.64 0.95%
2021년 2월 9일 14,007.70 0.14%
2021년 2월 10일 13,972.53 -0.25%
2021년 2월 11일 14,025.77 0.38%
2021년 2월 12일 14,095.47 0.50%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0년 10월 28일 10,632.99 -3.02%

공황이 끝나는 시점

  • 2020년 11월 29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영상 플랫폼 의 미래

 

<뉴욕마켓워치> 소비지표 부진에도 부양책 기대…주가·달러↑국채↓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2222

 

<뉴욕마켓워치> 소비지표 부진에도 부양책 기대…주가·달러↑국채↓ - 연합인포맥스

(뉴욕=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12일(미국시간)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소비 지표의 부진에도 미국의 부양책 기대로 상승했다. 3대 지수는 모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미국 국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7포인트(0.09%) 상승한 31,458.4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8.45포인트(0.47%) 상승한 3,934.8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69.7포인트(0.5%) 오른 14,095.47에 장을 마감했다.

 

어제 나스닥은 0.5%, S&P500지수는 0.47% 다우종합지수는 0.09% 올랐다.

3대지수 모두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이번 주 약 1% 올랐다. S&P500 지수는 1.2%, 나스닥은 1.7%가량 각각 상승했다.

 

메인 이슈 : 경기부양책 기대감

 

어제도 특별한 이슈가 없는 가운데 변동성 지표인 VIX 지수가 21.38로 5% 넘게 빠지면서 많이 내려갔다.

VIX 지수가 15이하로 내려가면 시장이 아주 안정적으로 보면 된다.

그런면에서 20 초반은 아주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변동성이 없는 장이 지속되면 주로 주가는 0%대로 움직이는데 대부분 우상향 한다.

변동성이 큰 것이 큰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렇게 0%대 상승이 이어지는 것이 떨어져도 크게 떨어지지 않아 손절하지 않고 버틸 수 있어서 대부분 수익이 난다.

 

미 정부는 2억 회분의 코로나19 백신 추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은 총 3억 명을 접종할 수 있는 백신을 확보했다. 이는 어린이 등을 제외한 전체 접종 대상 인원을 모두 접종하고도 남는 규모다.

 

백신으로 인한 효과도 크게 좋아지고 있다.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도 2021년 1월 8일 300,594명의 정점을 찍은 후 2021년 2월 11일 현재 105,600명으로 고점대비 1/3토막 났다.

지금 백신의 효과가 미국에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

최소 5월은 되어야 집단면역의 효과가 나오겠지만 주가는 먼저 움직이는만큼 앞으로 가치주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결론 : 0%대 상승이 이어지면 주가는 결국 우상향 한다.

 

1) 서브 이슈 :

영상 플랫폼 의 미래

 

제2 배민 나왔다...토종 스타트업, 美 데이팅앱에 1조9000억 매각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1/02/10/NLG2JUUU5FFQREEPVI5KCKHMPI/

 

제2 배민 나왔다...토종 스타트업, 美 데이팅앱에 1조9000억 매각

 

www.chosun.com

영상 메신저 ‘아자르’를 서비스하는 국내 스타트업 ‘하이퍼커넥트'가 세계 최대 데이팅앱 ‘틴더'를 운영하는 미국 매치 그룹에 인수됐다. 인수 금액은 무려 17억2500만달러(약 1조9000억원)이다.

 

국내의 스타트업이 미국의 데이팅앱 기업인 매치그룹에 1조 9000억 원에 인수되었다.

 

왜 인수가 되었을까?

기존의 데이팅앱인 텍스트, 사진기반에서 동영상 기반의 플랫폼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그것이 뭐가 대단한가?

시대의 흐름을 읽었다는데서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소통의 플랫폼은 텍스트 - 사진 - 동영상 - AR, VR - 홀로그램의 순서로 간다.

매치그룹에 인수된 한국의 스타트업 하이퍼커넥트는 이런 흐름을 읽었다는데서 대단하다.

 

현재의 시대 흐름은 무엇인가?

영상기반이 대세라는 것이다.

 

과거 피쳐폰이었을 때 그래픽은 조악했다.

왜냐하면 디스플레이, AP 등의 하드웨어가 열악했고 무엇보다 통신망 자체가 고퀄리티의 영상을 전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텍스트가 기반이었다.

 

그러다가 스마트폰이 나왔고 1G-2G-3G-4G를 거치면서 통신속도가 눈부시게 빨라졌다.

그러면서 고퀄리티 영상을 자연스럽게 전송하게 되었다.

 

텍스트 기반의 플랫폼은 사진기반의 플랫폼으로 자연스레 흐름이 이어졌고 그리고 현재는 영상의 시대가 온것이다.

 

예를들어

텍스트 기반은 - 문자메세지, 카카오톡과 같은 것이다.

사진은 - 페이스북, 왓츠앱, 인스타그램과 같은 것이다.

동영상 기반은 - 틱톡, 유튜브 등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SNS도 자연스럽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사진기반 플랫폼에서 틱톡, 유튜브 등의 동영상 플랫폼을 변하는 중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하이퍼커넥트는 동영상 기반의 데이팅 앱이기 때문에 사진, 텍스트 기반의 매치그룹이 인수한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페이스북이 왓츠앱, 인스타그램을 인수했던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북미에서 동영상 기반의 틱톡이 페이스북의 신규가입자를 앞서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구글이 페이스북보다 요즘 주가가 더 오르는 이유는 페이스북보다 유튜브가 현재 시대에 맞기 때문이다.

그래서 페이스북은 짧은 동영상 기반의 릴스라는 플랫폼을 내놨지만 SNS는 이미 동영상 기반의 틱톡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상태이다.

 

페북, 틱톡 그대로 배낀 영상 플랫폼 ‘릴스’ 출시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00806/102330849/1

 

페북, 틱톡 그대로 배낀 영상 플랫폼 ‘릴스’ 출시

미국이 틱톡 때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페이스북 소유 인스타그램이 ‘틱톡’을 흉내낸 짧은 동영상 제작 및 공유 서비스인 릴스(Reels)를 출시했다. 5일(현지시간) 블…

www.donga.com

릴스는 출시 직후 논란에 휩싸였다. 일각에서 인스타그램이 중국 유명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을 베꼈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

릴스가 틱톡이 내세웠던 15초 가량의 짧은 비디오 형식, 음악 및 텍스트 편집 기능, 화려한 특수효과 등을 그대로 적용해 틱톡을 연상시킨다는 게 비판의 핵심이다.

 

페이스북은 이미 그전에 베껴서 재미 본 전과가 있다.

스냅챗이 메세지가 사라지는 기능으로 인기를 모으자 스냅챗 인수에 나섰고 인수제안을 거절하자 스냅챗과 똑같은 기능을 출시해 스냅챗을 한동안 지옥에 빠지게 만들었다.

 

그러나 한번 유행에 뒤쳐진 플랫폼은 다시 따라오지 못하고 망할수도 있다.

 

현재는 동영상시대가 이미 와있고 동영상 시대가 꽃 피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모두 동영상 시대에 맞춰 플랫폼이 변하고 있지 않다.

분야별로는 동영상 시대에 맞지 않게 아직도 사진, 텍스트 기반의 플랫폼이 대세인 경우가 그렇다.

 

예를들어 메신저를 보자.

메신저는 아직도 주로 텍스트, 사진 기반의 카카오톡이 대세다.

 

그래서 요즘 유행하는 것이 바로 음성 기반 메신저인 클럽하우스다.

 

'클럽하우스' 뭐길래?…음성 SNS에 왜 열광하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203975

 

'클럽하우스' 뭐길래?…음성 SNS에 왜 열광하나

앞서 보신 비트코인처럼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 때문에 요즘 주목받는 게 하나 더 있습니다. 모르는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음성 기반 SNS, 클럽하우스입니다.

news.sbs.co.kr

클럽하우스는 미국의 한 스타트업이 지난해 개발한 쌍방향 음성 기반 SNS입니다.

 

그렇다 메신저는 이제 텍스트, 사진 기반의 서비스에서 음성기반의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물론 앞으로는 동영상 기반의 SNS로 발전할 것이다.

마치 영상통화와 같이 말이다.

 

영상통화야 자신이 아는 전화번호로 지인과 가족에게 하는 것이지만 영상SNS가 되면 불특정 다수와 영상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앞으로의 발전방향이라 볼 수 있다.

영상SNS로 발전한 것중에 하나가 바로 하이퍼커넥트와 같은 데이팅앱이라 할 수 있다.

 

플랫폼을 장악하면 결제수단을 장악하는 것이다.

카카오톡이 메신저 플랫폼을 장악하자 카카오 쇼핑, 게임 등으로 발전하면서 생태계를 이뤘던 것처럼 신박한 영상 메신저 서비스가 대세가 된다면 아마도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영상을 넘어 다음 버전의 소통은 어떻게 될까?

 

AR과 VR 등으로 발전할 것이다.

AR을 주로 지향하는 기업은 애플이고 VR을 개발하는 기업은 페이스북이다.

 

구글글래스라고 있었다.

구글이 만든 디지털 안경이다.

 

구글은 왜 구글글래스를 만들었을까?

구글은 한 때 모토롤라를 인수하면서 스마트폰을 만들었다.

그러나 실패로 끝났다.

이미 많은 스마트폰의 경쟁자와 출혈경쟁으로 스스로 무너졌다.

따라서 새로운 플랫폼인 구글글래스를 만들어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구글 글래스는 실패했다.

왜냐하면 구글글래스에 들어갈 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메가히트 상품에는 서로 앱을 개발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섰지만 구글글래스에 들어갈 앱은 돈을 줘도 만들까 말까 했기 때문이다.

 

IT기업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장악하려고 하드웨어를 개발한다.

애플이 스마트폰이라는 하드웨어를 만들어서 iOS라는 스마트폰 생태계를 만들었던 것처럼 말이다.

 

이미 스마트폰이라는 생태계를 만든 애플은 굳이 새로운 하드웨어를 개발할 필요가 없다.

그러니 스마트폰 기반의 AR을 만드는 것이 애플로서는 유리하다.

AR기반의 포켓몬고라는 메가히트 게임처럼 AR기반의 게임이 스스로 생기는데 굳이 새로운 영상기기를 만들 필요가 없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다르다.

페이스북은 스마트폰이라는 하드웨어를 넘어 새로운 하드웨어를 런칭해야 자신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오큘러스를 인수해 AR이 아닌 VR로 가는 것이다.

그러면서 지속적으로 VR게임 기업을 인수해서 생태계를 늘려야 한다.

 

페북, VR 게임사 또 인수…글로벌 시장 선점 가속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002265587i

 

페북, VR 게임사 또 인수…글로벌 시장 선점 가속

페북, VR 게임사 또 인수…글로벌 시장 선점 가속, 정연일 기자, 국제

www.hankyung.com

페이스북이 가상현실(VR) 관련 기업을 또 인수한다. 지난해 말 VR 게임업계 대표 기업인 비트게임즈를 사들인 지 3개월 만이다.

 

결국 페이스북은 동영상 시대 이후를 준비하고 있으며 그것은 VR이라는 새로운 하드웨어에 페이스북의 플랫폼을 심기위해서다.

 

그렇다면 VR의 시대는 언제 올까?

 

5G시대가 본격적으로 오게되면 시작이다.

 

메모리 주문 늘고 가격↑…원가 혁신까지 더해 실적 '고공행진‘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110377761

 

[Cover Story] 메모리 주문 늘고 가격↑…원가 혁신까지 더해 실적 '고공행진'

[Cover Story] 메모리 주문 늘고 가격↑…원가 혁신까지 더해 실적 '고공행진', SK하이닉스 강점 분석 노근창 < HMC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greg@hmcib.com >

www.hankyung.com

VR 동영상의 경우 기존 2D 영상 대비 메모리용량이 10배 이상 많이 필요하다. 1시간30분짜리 VR 동영상은 25기가바이트 이상 용량이 필요하다

 

VR을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구동하려면 25GB이상의 용량의 파일을 실시간으로 받아야 가능하다.

다운로드 받았던 것으로 실행할 수 있으나 결국은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해야 VR의 시대가 오는 것이다.

그런면에서 5G시대가 제대로 구현이 되면 VR의 시대가 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VR이 나은가 아니면 AR이 나은가 이다.

VR은 실외에서 가능하기는 하지만 거리를 걷는 것은 아마도 불가능하지 않을까 보인다.

그런면에서 AR은 거리를 걷는 것과 그 위에 증강현실이 보이니 거리를 걷는 것도 가능하리라 보인다.

다만 AR은 현재의 스마트폰으로는 한계가 있다.

구글글래스와 같은 쓰는 형태의 하드웨어가 기본이 될 것이다.

 

이후의 영상플랫폼은 어떤 형태가 될까?

마이너리티 리포트나 어벤져스의 자비스와 같은 허공의 컴퓨터가 그려지는 홀로그램이 대세가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자동차 유리에 나타나는 속도계 등과 같은 그래픽은 홀로그램이 아닌 AR이다.

 

결론 : 현재는 동영상 플랫폼이 대세인 시기이다.

그리고 플랫폼은 텍스트 - 사진 - 동영상 - AR, VR- 홀로그램으로 발전한다.

 

2) 매뉴얼 :

1. 나스닥 -3% 뜨기 전까지는 세계1등 주식은 떨어져도 팔지 않고 가져 간다.

2. 나스닥 -3%가 뜨면 세계1등의 떨어진 비율을 감안해 남겨 두거나 전량 매도 후 비율대로 말뚝을 박고 한달+1일 기다린다.

 

예를 들어 애플이 전고점 대비 20% 떨어진 지점에서 나스닥 -3%가 떴을 경우 즉 100달러가 전고점이라고 치자

현재 -3%가 떴고 애플은 80달러에 거래 된다면 20%가 떨어진 지점일 것이다.

그러면 100% 전량 매도 하는 것이 아니라 20% 떨어졌다면 5%당 10%씩을 말뚝 박는 것이니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그러니 60%만 매도하고 40%는 남겨두는 것이다.

전량 매도 후 말뚝박기는 100% 전량 매도 후 20% 떨어진 80달러 지점에 자산의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3)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다가 포모(주식을 판 가격보다 오를 것에 대한 두려움)가 두렵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고 -3%때 판 가격보다 단 1불이라도 떨어졌다면 전량 매수하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JD부자연구소 인강 사이트 (구글에서 제이디 부자연구소 검색)

PC URL : https://www.jordan777.com/main/index.jsp

 

JD부자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JN8yfW2p6Gd8-wZ04pGAkg


www.youtube.com/watch?v=vd43NAwFBE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