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유가상승 = 친환경주가 상승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공황 끝

나스닥 -3% 후 한달이 지났으므로 공황이 끝남

오늘 새벽 6시에 애플 매수 시작!!!

  •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 공황이 끝나면 미국 일등 주식인 애플을 매수한다.
날짜 종가 상승률
2021년 2월 1일 13,403.39 2.55%
2021년 2월 2일 13,612.78 1.56%
2021년 2월 3일 13,610.54 -0.02%
2021년 2월 4일 13,777.74 1.23%
2021년 2월 8일 13,856.30 0.57%
2021년 2월 8일 13,987.64 0.95%
2021년 2월 9일 14,007.70 0.14%
2021년 2월 10일 13,972.53 -0.25%
2021년 2월 11일 14,025.77 0.38%
2021년 2월 12일 14,095.47 0.50%
2021년 2월 16일 14,047.50 -0.34%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0년 10월 28일 10,632.99 -3.02%

공황이 끝나는 시점

  • 2020년 11월 29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유가상승 = 친환경주가 상승

 

<뉴욕마켓워치> 美금리 상승세 주시…주가 혼조·달러↑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2643

 

<뉴욕마켓워치> 美금리 상승세 주시…주가 혼조·달러↑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16일(이하 미국 동부시간)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의 국채금리 상승세를 주시하면서 등락을 거듭한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다.미국 국채 가격은 백신 보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4.35포인트(0.2%) 상승한 31,522.7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24포인트(0.06%) 하락한 3,932.5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7.97포인트(0.34%) 내린 14,047.50에 장을 마감했다.

 

어제 나스닥은 0.34%, S&P500지수는 0.06% 하락했고 다우존스 지수는 0.2% 상승했다.

 

메인 이슈 : 10년 물 금리 상승에 의한 성장주 하락

 

어제는 10년 물 금리가 1.3을 찍으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는 성장주가 내리고 가치주가 올랐다.

성장주라고 다 내린 것은 아니다.

애플, 아마존,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는 내렸고 페이스북, 구글은 올랐다.

 

특히 테슬라는 고점대비 약 10% 하락했는데 빅테크 성장주 중에서도 가장 하락폭이 크다.

왜냐하면 테슬라가 성장주에서도 가장 많이 올라서가 아닐까 생각한다.

 

가치주는 올랐다.

특히 은행주가 많이 올랐다.

금리 오르면 은행주가 아무래도 수혜를 입는다.

 

게다가 코로나의 확진자가 요즘 무섭게 줄어들고 있다.

한 때 최고 30만 명대 하루 확진자가 2월 15일 현재 55,372명까지 줄었다.

엄청난 감소다.

 

https://www.google.com/search?client=firefox-b-d&q=%EC%BD%94%EB%A1%9C%EB%82%9819+

 

코로나19 - Google 검색

서울시 코로나19 통합정보 사이트로 안전·방역(발생동향, 클린존, 선별진료소, 해외입국자 안내, 일일브리핑, 홍보물&공적 공급마스크, 보도자료, 일일 소식지&대응 ...

www.google.com

 

이러다가 4월에 미국 펜데믹 종식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이렇게 가파르게 줄면서 경기부양책은 3월 중순에 통과된다고 하니 경기가 확실히 좋아지는 분위기다.

 

이렇게 10년 물 금리가 오르자 금값은 떡락을 하고 있다.

이자 주는 미국 채권이 있는데 이자도 안 주는 금을 요즘 같이 별로 불안하지도 않은 시대에 살 이유가 없지 않은가?

그래서 금은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상승하고 있다.

버블이 우려되는 수준으로 비트코인 선물은 5만 달러를 뚫고 올라가고 있다.

 

테슬라의 투자,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블랙락 등의 뉴스로 인해 비트코인이 엄청 상승하고 있다.

따라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 가격도 덩달아 올라가고 있다.

이러니 가상화폐 채굴 가능한 그래픽 카드 기업인 엔비디아도 상승하고 있다.

500불이 깨지네 마네, 횡보디아네 그러더니 결국 엔비디아가 순식간에 600불을 돌파했다.

 

아무래도 이렇게 10년 물 미국채 금리가 오르면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연준에서 자산축소 하는 것 아닌가 해서 주가가 떨어질 수 있다.

그러자 연준에서는 그럴 일이 없다면서 멘트 발사해 주신다.

 

캔자스 연은 총재 "국채수익률 급등 걱정 안해…단기 인플레 압력 없어"(상보)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2607

 

캔자스 연은 총재 "국채수익률 급등 걱정 안해…단기 인플레 압력 없어"(상보) - 연합인포맥스

\"부동산 시장, 현재 통제할 수 있지만 위협될 수도\"(뉴욕=연합인포맥스) 곽세연 특파원 우성문 통신원 =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장기물 국채수익률 급등은 우려할

news.einfomax.co.kr

결론 : 10년 물 국채 금리 떨어지면 성장주도 상승할 수 있다.

 

1) 서브 이슈 : 유가상승 = 친환경주가 상승

 

바이든의 나비효과가 지금 벌어지고 있다.

 

이상기후에 '춥고 어두운' 美 중남부...에너지 가격↑​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21700193118150

 

이상기후에 '춥고 어두운' 美 중남부...에너지 가격↑ - 머니투데이

미국 중남부 전역을 강타한 혹한으로 에너지 가격이 치솟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마켓와치에 따르면, 이상기후로 인한 에너지 대란이 곳곳에서 벌어지면서 천연가스 선물...

news.mt.co.kr

이날 오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WTI 3월물은 전거래일보다 0.79% 오른 배럴당 59.94달러에 거래 중이다. 이날 장중 WTI가격은 60.33달러까지 올랐다.

 

혹한이 미국 남부에 몰아닥치면서 WTI는 60달러를 뚫었다.

이 수치는 펜데믹 이전의 수치다.

미국 10년 물 금리도, WTI 유가도 작년 2월 수준으로 회복했다.

그렇다면 유가 회복이 과연 혹한에 의한 가격 상승인가?

아니면 경기회복에 따른 자연스런 상승인가?

 

나는 유가의 상승이 일시적인 이벤트가 아닌 구조적인 상승으로 본다.

 

바이든 행정부는 시작하면서 파리기후협약에 재가입하면서 친환경 정부라는 것을 인증했다.

당연히 석유를 덜 써야 하는 상황으로 몰아가고 있다.

그러려면 전기차 등 석유가 아닌 친환경차를 많이 보급해야 한다.

그러나 전기차는 개솔린차에 비해 아직 원가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러면 전기차의 보급을 늘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보조금을 주는 것과 하나는 석유의 가격을 올리는 것이다.

그러나 보조금을 주는 것은 요즘같이 연방정부 예산을 엄청나게 쓰고있는 와중에 세금면에서 부담이 된다.

따라서 석유의 가격을 올리는 편이 더 나은 방법이다.

 

"시추 금지하면 다 죽는다" 중소 석유업체 반발에 시험대 선 바이든​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22/2021012201359.html

 

"시추 금지하면 다 죽는다" 중소 석유업체 반발에 시험대 선 바이든

바이든, 美 연방 내 신규 시추 허가 발급 중단임대권 미리 획득한 대기업들 "4년은 견딘다"지역 기반 좁고 토지 적은 중소업체만 '죽을 맛'시추..

biz.chosun.com

​21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WAE는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 직후 성명을 내고 연방 토지 내 신규 시추 허가 발급을 중단하겠다는 공약에 대해 법적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바이든은 개인 토지에서 셰일가스를 채취하는 것은 막을 수 없으니 일단 연방정부에서 캐는 셰일가스 시추 금지를 시켰다.

전세계적인 공급과잉을 일으켰던 미국발 셰일가스가 금지가 되면서 공급과잉이 해소될 조짐이 보인 것이다.

 

아무리 OPEC에서 감산을 한다고 하더라도 미국에서 셰일가스를 캐내 수출하면 OPEC은 시장점유율만 떨어지면서 공급과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낮은 유가가 지속된다.

이러면 결국 감산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데 미국이 스스로 셰일가스를 줄여준다고 하니 얼마나 고마운가?

 

그러나 이러한 셰일가스 감산 조치는 결국 친환경 에너지의 시대를 더 빨리 재촉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텍사스 퍼미안 분지에서 발견된 셰일가스가 미국이 200년간 쓸 수 있는 양이다.

그러니 미국의 셰일가스 시추가 지속된다면 지속적으로 낮은 가격의 천연가스가 공급이 될 것이고 낮은 유가는 지속될 것이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비싼 친환경에너지를 쓰지 않고 석유를 쓸 수 있다.

그러나 석유가격이 비싸지게 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각국은 석유 대체 에너지를 찾고 국제적인 압력으로 좀 더 빠른 친환경 에너지의 시대가 올 것이다.

 

결론 : 바이든의 나비효과가 친환경 에너지의 시대를 촉진하게 될 것이다.

 

2) 서브 이슈 : 인텔의 떡락 이유

 

애플은 인텔에게 모바일용 AP생산을 의뢰했다.

모바일용 AP는 PC의 CPU와 같은 역할을 한다.

중앙처리장치.

그러나 CPU보다 AP는 더 많은 역할을 수행한다.

 

AP= MPU(중앙처리장치)+GPU(그래픽 처리장치)+MMP(이미지 압축해제)+DSP(오디오 신호처리)+모바일통신칩을 합해서 시스템온칩(SoC)으로 원칩화 되었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AP가 이렇게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애플의 스마트폰용 AP 제안을 받은 인텔은 그냥 범용제품을 사다 쓰라고 했다.

결국 애플은 인텔이 아닌 ARM의 설계를 쓰게 되면서 인텔은 스마트폰 시장을 놓쳐버렸다.

 

그리고 인텔이 남은 시장은 노트북,PC용과 서버용 시장만 남은 상태였다.

그런데 애플이 노트북에 ARM기반의 M1칩을 들여오면서 인텔과 작별하고 있다.

 

가성비 좋은 맥북에어 "발열·소음 다 잡았다" [써봤습니다]

https://www.mk.co.kr/news/it/view/2020/12/1323784/

 

가성비 좋은 맥북에어 "발열·소음 다 잡았다" [써봤습니다]

`인텔과 결별` 애플 자체 칩 장착한 맥북에어 써보니

www.mk.co.kr

"노트북 컴퓨터의 고질병인 발열과 소음이 없다. 어떤 프로그램을 띄우든 엄청나게 빠르다!"

M1칩을 적용한 맥북에어를 써본 후기다.

 

맥북에어는 애플이 인텔과 결별을 선언하고 내놓은 노트북용 시스템온칩(SoC) `M1`을 탑재한 첫 작품이다. 전원을 켜는 순간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메모리 등을 하나로 통합한 애플 전용 M1칩의 저력을 느낄 수 있다. 전력 소모와
발열이 적은 영국 반도체 회사 `암(Arm)` 기반 설계의 장점에다 성능도 뛰어나 기존 인텔 중심 노트북 칩셋 시장을 흔들
가능성이 충분해 보였다.

 

얼마전까지만해도 애플의 맥북에어는 X86기반의 인텔 CPU를 썼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자체 설계한 M1칩을 쓰면서 인텔 CPU를 쓰지 않으려고 한다.

설계는 ARM기반이다.

ARM기반의 설계를 적용하고 5나노 미세공정의 반도체를 TSMC에 맡겨 위탁생산한 제품이다.

인텔이 M1칩보다 떨어지는 이유는 인텔은 7나노 공정의 제품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적은 나노로 갈수록 정밀한 미세공정기술이 더 필요하다.

그러니 7나노보다 5나노 미세공정이 훨씬 어려운 기술이다.

요즘에 TSMC는 2나노에 도전하고 있다.

 

선폭이 좁을수록 전력소모량이 뛰어나니 CPU의 발열이 적고 발열이 적으니 에너지 소모가 적어서 같은 배터리를 쓰더라도 2배 더 오래 쓸 수 있고 M1칩을 적용한 맥북에어는 팬이 없다.

그러니 얼마나 발열이 적다는 얘기인가?

 

그럼 생각해 보자.

인텔은 모바일용 시장과 노트북, PC용 시장을 이제 다 빼앗기게 생겼고 남은것은 서버시장이다.

그런데 엔비디아가 ARM을 인수해서 ARM기반의 서버용 CPU를 만든다고 한다.

만약 서버용 CPU마저 ARM기반으로 만든 칩이 훨씬 우수하다면 인텔은 파산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ARM기반의 칩은 발열이 적은 것이 강점이다.

발열이 적다는 것은 시스템에 무리가 가지 않고 전기소모량이 적다는 얘기다.

클라우드 서버는 엄청난 열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는 바다속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만들려고도 시도했다.

그리고 한국에 클라우드 센터가 들어온 것도 한국의 전기세가 싸서다.

그만큼 서버CPU의 전기소모량이 엄청나다는 얘기이다.

그런데 ARM기반의 서버칩을 엔비디아가 만들어낸다면 앞으로 인텔은 설자리가 없어진다.

 

그래서 인텔이 칩의 일부제품에 대해 삼성전자와 TSMC에 위탁생산을 하고 있다.

왜냐하면 인텔이 7나노 이하의 제품 설계가 먹히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인텔은 자사의 공장에서 제품은 만들면 7나노 이하의 제품은 만들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 설계도 그 이상의 칩셋만 설계하기 때문이다.

 

결론 : 인텔이 미세공정에 실패하면 조만간 없어질 수도 있다.

 

2) 매뉴얼 :

1. 나스닥 -3% 뜨기 전까지는 세계1등 주식은 떨어져도 팔지 않고 가져 간다.

2. 나스닥 -3%가 뜨면 세계1등의 떨어진 비율을 감안해 남겨 두거나 전량 매도 후 비율대로 말뚝을 박고 한달+1일 기다린다.

 

예를 들어 애플이 전고점 대비 20% 떨어진 지점에서 나스닥 -3%가 떴을 경우 즉 100달러가 전고점이라고 치자

현재 -3%가 떴고 애플은 80달러에 거래 된다면 20%가 떨어진 지점일 것이다.

그러면 100% 전량 매도 하는 것이 아니라 20% 떨어졌다면 5%당 10%씩을 말뚝 박는 것이니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그러니 60%만 매도하고 40%는 남겨두는 것이다.

전량 매도 후 말뚝박기는 100% 전량 매도 후 20% 떨어진 80달러 지점에 자산의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3)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다가 포모(주식을 판 가격보다 오를 것에 대한 두려움)가 두렵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고 -3%때 판 가격보다 단 1불이라도 떨어졌다면 전량 매수하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JD부자연구소 인강 사이트 (구글에서 제이디 부자연구소 검색)

PC URL : https://www.jordan777.com/main/index.jsp

 

JD부자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JN8yfW2p6Gd8-wZ04pGA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