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공황 시작
하루만에 나스닥 -3% 떠서 다시 공황이 시작됨
나스닥 -3% 이상 폭락으로 전량 매도 매뉴얼 발동
-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날짜 | 종가 | 상승률 | 연속 상승일 |
2021년 2월 24일 | 13,597.97 | 0.99% | - |
2021년 2월 25일 | 13,119.43 | -3.52% | 0일차 |
★★★마지막 -3% 시점
날짜 | 종가 | 하락율 |
2021년 2월 25일 | 13,119.43 | -3.52% |
공황이 끝나는 시점
- 2021년 3월 26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나스닥 폭락, 상승모멘텀?
<뉴욕마켓워치> 10년물 금리 1.5% 돌파에 주가 급락…달러↑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4388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59.85포인트(1.75%) 하락한 31,402.0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6.09포인트(2.45%) 급락한 3,829.3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78.54포인트(3.52%) 추락한 13,119.43에 장을 마감했다.
어제 나스닥 -3%가 떴다.
나스닥은 3.52%, S&P500지수는 2.45%, 다우존스 지수는 1.75% 하락했다.
원인은 10년 물 국채 수익률 상승 때문이다.
메인 이슈 : 나스닥 폭락, 상승모멘텀?
美 7년물 국채입찰 얼마나 나빴길래…30분만에 금리 1.6% 돌파했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4427
25일(현지시간) 배런스와 마켓워치 등 외신들에 따르면 이날 7년물 미국 국채 입찰 결과가 나온 오후 1시 직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30분 만에 1.477%에서 1.614%까지 가파르게 상승했다. 금리는 2020년 2월 14일 이후 최고 수준까지 올라섰다.
7년 물 입찰 결과 때문에 나스닥 -3%가 떴다.
입찰 결과 1.6%까지 오른 10년 물 국채금리는 한국시간으로 3시 경 나스닥을 -3% 이하로 끌어 내렸고 다시 1.4%대로 떨어졌을 때 상승했다가 결국 1.5%를 넘기면서 나스닥 -3%가 확정되었다.
2021년 2월 26일 12시 현재 1.4%대까지 떨어진 국채 금리 때문에 주식 시장은 약간의 안정을 찾고 있다.
어제는 파월의 멘트이후 금리 이슈가 끝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금리 이슈가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왜 주식 투자자들은 왜 패닉이 왔을까?
입찰 수요 강도를 보여주는 응찰률이 최근의 2.30배에서 2.045배로 크게 하락했다. 응찰률은 자료 집계가 가능한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응찰률이 낮아질수록 수요가 적다는 의미다.
2.045배라는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의 응찰률 때문이다.
그래서 채권투자자는 채권 사기를 망설였고 채권 금리는 높아졌다.
어제 4가지 변수를 얘기했다.
1. 금리상승
2. 경기부양책
3. 실적발표
4. 경제재개
어제는 이 4가지 변수 중에 금리 상승만을 나쁘게 보았다.
경기부양책, 실적발표, 경제재개는 모두 좋은 지표로 보았다.
그래서 금리상승만 지나가면 주가는 상승하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채권금리 상승 이후 혹시 2번과 4번은 좋은 지표가 아니라 나쁜 지표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었다.
즉 채권금리 상승은 무엇 때문에 일어나는가?
바로 많은 돈이 풀려서다.
그러니 경기부양책으로 1조9천억 달러를 푸는 것이 가시화 된다면 채권을 가질 이유가 없다.
게다가 경제재개가 4월로 당겨진다면 오히려 연준이 테이퍼링 안 한다고 했지만 자산축소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물론 내가 아니라 시장이 그렇게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시장은 채권입찰을 들어가는 것을 꺼려했고 아니 채권 입찰 하는 것을 호구로 봤다.
왜냐하면 위의 이유 뿐 아니라 민주당은 이번 1조9천억 달러 이후 더 많은 경기부양책을 밀어 붙이려고 하고 있다.
친환경과 인프라 투자로 말이다.
이러면 올해에만 5조 달러까지 풀어대는 것은 아닌가?
그러면 채권을 사면 똥 되는데? 라는 생각을 한 것은 아닌가?
결국 1. 금리상승, 2, 경기부양책, 3, 경제재개는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는 변수이고 이것이 채권금리를 상승시키고 성장주의 주식을 끌어내렸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
https://kr.investing.com/rates-bonds/u.s.-10-year-bond-yield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 그래프다.
바이든 정부가 1월 20일 시작하고 제일 먼저 시작한 것이 바로 1조 9천억 달러의 경기부양책이다.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1.008%로 1월 28일 저점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약 50% 가까이 올라서 현재 1.477%이지만 어제는 1.6%까지 60%가 급등했던 것이다.
성장주의 대명사 애플은 전고점 대비 15%나 빠졌다.
그것도 채권수익률 따라서 아주 서서히 말이다.
그렇다면 채권 수익률 상승을 멈추게 할 요인은 무엇인가?
1. 연준의 YCC
연준이 강제로 10년 물 국채를 시장에서 집중적으로 사면서 금리를 끌어내리는 것이 바로 YCC다.
그러나 연준이 이제 1.5%대인 금리 때문에 YCC를 쓸 이유가 없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경제 전망을 고려하면 미 국채 10년 금리의 상승은 적절하다(appropriate)"고 말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역사적 기준으로 보면 금리는 여전히 낮다"고 말했고,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기저의 인플레이션 압력은 당분간 잠잠한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구나 연은 총재들의 발언으로 보면 오히려 지금은 건강한 상승이다.
이렇게 얘기하고 있다.
그러니 현 상황에서 연준이 나서서 YCC를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 할 수 있다.
현상황에서 갑자기 수익률이 2% 이상 치솟지 않는한 힘들다고 본다.
그리고 다음달 15일이나 되어야 파월이 매스컴을 탈 것인데 아직은 멘트로 시장을 죽이는 것도 쉽지 않다.
결론 : YCC는 가망없다.
2. 경기부양안 축소.
1조 9천억 달러의 경기부양안이 1조 달러 아래로 떨어져서 채권 수익률이 떨어진다면 10년 물 국채금리가 안정될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하원을 이미 통과시키고 상원으로 보내면서 거의 원안인 1조 9천억 달러 법안을 통과시킬 것이 거의 확실하다.
당초에는 1조9천억 달러는 고사하고 몇 천억 달러 수준에서 통과가 되리라고 봤는데 아니다.
민주당의 의지가 확실하고 상원에서 부통령이 1조 9천억 달러를 법안을 밀면 통과되리라 보인다.
결론 : 경기부양안 축소는 좀 힘들다.
3. 응찰률 상승
다음번 국채입찰에서 적극적인 국채입찰의 참여가 난다면 국채가 안정될 것이다.
즉 이번의 응찰률보다 높은 2.5배 이상의 국채입찰 참여가 있다면 1.5%대에서 횡보하고 주가도 횡보하면서 안정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경기부양안 축소가 되지 않으면 아마도 응찰률 상승은 좀 힘들 것이다.
그리고 경기부양안이 원안대로 통과가 확실시 된다면 오히려 응찰률이 더 내려갈수도 있다.
결론 : 경기부양안 축소에 달렸다.
4. 그외의 변수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 경제재개 시기 등등
시장은 경기부양책, 경제재개를 나쁜 변수로 보고 채권수익률을 밀어 올려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다.
채권수익률을 끌어 내릴 모멘텀을 찾기 힘들다.
그렇다고 주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진다는 얘기는 아니다.
주가는 고점대비 많은 조정을 당했다.
'돈나무 누나' 캐시우드 위기?…아크ETF 하루 4.5억弗 유출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2/187085/
23일 갑자기 대규모 자금이 빠져나간 건 ARKK 수익률이 최근 급격히 나빠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ARKK의 최근 일주일 수익률은 -9.10%, 한 달 수익률은 -5.31%로 저조한 상황이다.
그러나 주가가 더 떨어지면 안 된다.
왜냐하면 아크 이노베이션 ETF처럼 성장주에 집중투자한 ETF에서 환매가 나오고 환매는 주식매도를 부르며 주식매도는 환매를 부르는 악순환에 빠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결론 : 자신의 원칙을 지키자.
일개 개미가 어찌 봉황(시장)의 뜻을 알리요?
대응은 두 가지다.
매뉴얼을 지키든지, 존버를 하든지
시장상황에 따라 주식을 떨어진다고 팔고 올라간다고 사면 계좌 녹는다.
1) 서브 이슈 : 말뚝 박기
애플 말뚝박기 비율
말뚝박기는 최대 50%이상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만들었다.
따라서 최대 50%까지 떨어진다고 했을 때 -3%때 판 현금을 모두 집어 넣는 것이다.
애플의 말뚝박기 비율표다.
어제 애플의 종가는 120.99달러다.
따라서 약 15%가량 떨어졌다.
그러니 말뚝박기는 15%의 2배인 총자산의 30%만 애플을 사는 것이다.
나머지는 달러로 갖고 있는 것이 낫다고 본다.
TLT는 제로금리 상황에서 헤지를 하기에 적당하지 않다고 본다.
그러나 TLT로 헤지를 한다면 말리지는 않겠다.
앞으로 20%, 25% 떨어질 때마다 애플을 정해진 비율대로 사면 된다.
그러나 오를 때는 불타기를 하지 않는다.
즉 사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언제 남은 자산을 전부 투자하는가?
매뉴얼대로 한달 +1일 이후다.
결론 : 2021년 2월 25일에 -3.48%가 떴으니 3월 26일 이후에도 세계1등이 애플이라면 자신이 정한 비율로 사면 된다.
2) 매뉴얼 :
1. 주식 매수일은-3%가 뜬 2021년 2월 25일의 한달+1일 이후인 2021년 3월 26일이다.
2. 세계1등 주식이 더 떨어지면 정해진 비율대로 말뚝박기를 하자.
예를 들어 애플이 전고점 대비 20% 떨어진 지점에서 나스닥 -3%가 떴을 경우 즉 100달러가 전고점이라고 치자
현재 -3%가 떴고 애플은 80달러에 거래 된다면 20%가 떨어진 지점일 것이다.
그러면 100% 전량 매도 하는 것이 아니라 20% 떨어졌다면 5%당 10%씩을 말뚝 박는 것이니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그러니 60%만 매도하고 40%는 남겨두는 것이다.
전량 매도 후 말뚝박기는 100% 전량 매도 후 20% 떨어진 80달러 지점에 자산의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3)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다가 포모(주식을 판 가격보다 오를 것에 대한 두려움)가 두렵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고 -3%때 판 가격보다 단 1불이라도 떨어졌다면 전량 매수하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JD부자연구소 인강 사이트 (구글에서 제이디 부자연구소 검색)
PC URL : https://www.jordan777.com/main/index.jsp
JD부자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JN8yfW2p6Gd8-wZ04pGAkg
www.youtube.com/watch?v=AS57tczpr4c
'투자 >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나스닥 -3% 떴을 때 TLT, 금, 현금 헤지(hedge)전략 (0) | 2021.03.01 |
---|---|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나스닥 장막판에 급락한 이유 (1) | 2021.02.28 |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단기적인 주가전망 (0) | 2021.02.25 |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위기는 끝이 나는가? (0) | 2021.02.24 |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미중 디지털 화폐전쟁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