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미중 디지털 화폐전쟁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공황 끝

나스닥 -3% 후 한달이 지났으므로 공황이 끝남

오늘 새벽 6시에 애플 매수 시작!!!

  •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 공황이 끝나면 미국 일등 주식인 애플을 매수한다.
날짜 종가 상승률
2021년 2월 8일 13,856.30 0.57%
2021년 2월 8일 13,987.64 0.95%
2021년 2월 9일 14,007.70 0.14%
2021년 2월 10일 13,972.53 -0.25%
2021년 2월 11일 14,025.77 0.38%
2021년 2월 12일 14,095.47 0.50%
2021년 2월 16일 14,047.50 -0.34%
2021년 2월 17일 13,965.50 -0.58%
2021년 2월 18일 13,865.36 -0.72%
2021년 2월 19일 13,874.46 0.07%
2021년 2월 22일 13,533.05 -2.46%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0년 10월 28일 10,632.99 -3.02%

공황이 끝나는 시점

  • 2020년 11월 29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미중 디지털 화폐전쟁

 

<뉴욕마켓워치> 美 금리 상승 부담…주가 혼조·국채↓·달러↓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3609

 

<뉴욕마켓워치> 美 금리 상승 부담…주가 혼조·국채↓·달러↓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22일(이하 미국 동부시간)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기술주가 타격을 받으면서 혼조세를 나타냈다.미국 국채 가격은 강한 경기 회복,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37포인트(0.09%) 상승한 31,521.6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0.21포인트(0.77%) 하락한 3,876.5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41.42포인트(2.46%) 급락한 13,533.05에 장을 마감했다.

 

어제 나스닥은 2.46%, S&P500지수는 0.77% 하락했으나 다우존스 지수는 0.09% 상승했다.

미국채 10년 물 금리 상승에 따른 성장주 부담 때문이다.

 

결국 어제 성장주는 대폭 내렸다.

테슬라 주가가 8.5% 이상 급락하고, 애플 주가는 3% 가까이 내리는 등 핵심 기술기업의 부진이 이어졌다.

그러나 은행, 정유 등 가치주가 오르면서 다우지수는 플러스로 마감했다.

 

메인 이슈 : 금리상승

 

2년물 국채와 10년물 금리 차이는 약 4년 만에 최대로 확대됐다. 장기 금리의 상승과 장단기 금리차 확대는 경제 회복의 대표적인 신호로 꼽힌다.

 

장단기 금리차 역전은 주가 폭락으로 이어진다.

왜냐하면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다는 것은 그만큼 채권을 많이 사서 장기금리가 내려갔다는 얘기고 위험자산을 팔고 안전자산으로 옮겨갔다는 얘기가 되니 말이다.

이것은 경기침체의 전조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장단기 금리차 확대는 채권을 팔아서 장기금리가 올랐다는 얘기이고 위험자산을 팔고 주식, 비트코인, 부동산 등 위험자산을 샀다는 얘기다.

그러니 결국 경기회복의 신호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때문에 연준이 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연준의 대응이 중요하다.

 

연준의 파월의장 연설이 23일 상원에서 24일 하원에서 예정되어 있다.

파월의장에게 당연히 10년 물 금리 상승에 관한 인플레이션 대책을 물어 볼 것이다.

여기서 파월의장이 어떻게 대답하느냐? 에 따라 기술주가 오르고 내림이 달려있다.

 

1. 최악의 경우

금리상승에 대해 테이퍼링 등 자산축소를 얘기한다면 폭락으로 간다.

 

그러나 그럴리가 없다.

아직 경기가 회복한 것도 아닌데 파월이 머리에 총맞지 않고 그렇게 강력한 얘기를 할 이유가 없다.

 

2. 중간의 경우

금리상승에 대해 원론적인 얘기만 하는 경우

즉 연준은 앞으로 금리를 올리지도 않을 뿐더러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경우도 시장에 그리 좋지 않다.

말로만 떠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은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지 않는 일정부분 하락했다가 다시 제자리를 찾을 것이다.

이 경우가 가장 확률이 높다.

 

3. 최상의 경우

금리상승에 대해 10년 물 채권을 사서 금리를 적극적으로 안정 시키겠다.

 

주가는 로켓처럼 하늘로 치솟을 것이다.

왜냐하면 10년 물 채권을 산다는 얘기는 YCC를 한다는 얘기인데 이러면 물가가 올라도 채권 수익률이 올라갈리가 없는 상태가 지속된다는 얘기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에는 호재이다.

그러나 이 경우도 확률이 높지 않다.

 

결론 : 파월의장이 2번의 경우를 얘기할 것이고 시장은 약간의 조정을 거친 후 다시 상승할 것이다.

 

1) 서브 이슈

미중 디지털 화폐전쟁

 

中 ‘디지털 위안화’ 또 뿌렸다…“달러 패권 흔들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08/2021010802389.html

 

中 ‘디지털 위안화’ 또 뿌렸다…“달러 패권 흔들자”

중국 광둥성의 기술 허브인 선전시가 7일 두 번째 ‘디지털 위안화(E-CNY)’ 사용 실험에 착수했다. 추첨에서 당첨된 시민 10만 명이 디지털..

biz.chosun.com

중국 정부는 2014년부터 추진한 디지털 통화를 세계 최초로 공식 출범시키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 정부는 디지털 위안화를 세계 금융 시스템에서 미국 달러화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는 수단으로 본다.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를 만든다고 한다.

왜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를 만들려고 할까?

 

북핵 사태가 위안화 국제화를 촉진시키는 이유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13/2017091302123.html

 

북핵 사태가 위안화 국제화를 촉진시키는 이유

스티븐 므누신 美 재무장관 “유엔 제재 안 따르면 달러시스템서 중국 배제” 경고기축통화 달러 무기화 부각...위안화 국제결제시스템 확대 겨냥 强위안 행보 장면 1 “중국이 유엔의 새로운

www.chosun.com

장면 1 "중국이 유엔의 새로운 대북 제재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을 경우 중국이 미국의 금융시스템과 달러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할 것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6차 핵실험을 감행한 북한을 제재하기 위한 결의안 2375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한 12일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뉴욕에서 열린 투자 컨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한 내용의 일부다.

 

2017년 9월 미국의 전 재무장관 스티브 므누신은 중국을 북핵문제로 달러 결제시스템에서 중국을 배제한다고 위협했다.

달러결제시스템은 두 가지다.

 

미국은 민간 지불결제시스템인 칩스(CHIPS⋅Clearing House Interbank Payment System)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운영하는 페드와이어(Fedwire) 를 통해 달러화를 결제하고 있다.

 

여기서 중국을 배제하겠다는 얘기다.

 

이게 얼마나 심각한 것이냐?

달러결제에서 배제되는 순간 중국은 에너지, 식량, 자원 등을 사올 수 없다.

왜냐하면 중국은 국제결제통화로 1.68%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 순식간에 굶어 죽을 수 있다.

 

미국은 중국과의 갈등이 심해지면 금융전쟁을 할 것이고 금융전쟁의 시작은 미국 결제시스템에서 배제 할 것이란 얘기다.

달러를 결제하기 위해서는 달러통장이 있어야 한다.

이 달러통장은 미국의 연준에서 관리하고 있다.

원화를 한국은행에서 관리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니 중국이 달러를 중국에서 사우디로 인터넷 뱅킹을 한다고 하더라도 미국 연준의 중국계좌에서 미국 연준의 사우디 계좌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것을 확인해 주는 것은 모두 미국이 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이 석유대금을 결제하려고 사우디에 보냈어도 미국이 확인을 안 해주면 이동을 하지 않는다.

그러니 사우디는 결국 돈을 못 받은 것이고 석유를 중국으로 보내지 못한다.

달러 패권국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금융제재다.

 

그 전에 미국은 이렇게 두 번의 제재가 있었다.

 

한번은 북한, 한번은 이란이다.

 

[북한 돈줄 조이는 美]③12년 전 방코델타아시아 사건을 아시나요?

https://www.asiae.co.kr/article/2017082411223561702

 

[북한 돈줄 조이는 美]③12년 전 방코델타아시아 사건을 아시나요?

북한에 대한 금융 제재의 효과를 얘기할 때 자주 언급되는 사례는 2005년 마카오 소재 방코델타아시아(BDA)에 가했던 제재다. 미국 재무부는 그해 9월 북한과 거래하던 BDA를 북한의 불법자금 세탁

www.asiae.co.kr

사례는 2005년 마카오 소재 방코델타아시아(BDA)에 가했던 제재다. 미국 재무부는 그해 9월 북한과 거래하던 BDA를 북한의 불법자금 세탁과 연루된 우려대상으로 지정했다. 단지 '우려대상'이라고 했을 뿐인데 효과는 엄청났다.

 

이에 미국 재무부의 조사 대상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북한과 관계를 맺고 있던 나라와 기업들이 거래를 끊었다. 마카오 당국은 자국 내 6위 정도의 소규모 은행이었던 BDA의 파산을 우려해 예금 동결조치를 내렸고 북한의 계좌에 있던 2500만 달러도 묶였다.

 

이렇게 미국이 우려를 표하자마자 재무부의 조사를 두려워한 은행이 알아서 기었고 결국 북한의 자금은 동결되었다.

그러나 만약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이 미국 재무부의 말을 안 듣고 북한에 송금을 했을 경우 미국은 스위프트로 송금을 막을 수 있다.

 

스위프트란

국제송금시스템으로 현재는 전 세계 200여 개국에 1만1천여 개의 금융기관이 SWIFT망을 통해 국경을 넘어 돈을 지불하거나 무역대금을 결제하고 있다. 하루에만 1천800만건의 대금지급이 SWIFT망을 통해 이뤄진다.

 

이란도 핵무기를 만든다고 하자 미국이 북한과 똑같은 방식으로 금융제재를 가했다.

중국은 미국의 금융제재를 두려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은 이런 스위프트의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해 북한을 통해 해킹을 시도한다.

 

북·미 해킹 놓고 기싸움...북한, '유일한 돈줄' 해킹으로 얼마나 벌기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8311130001

 

북·미 해킹 놓고 기싸움...북한, '유일한 돈줄' 해킹으로 얼마나 벌기에

“미국이 우리의 ‘사이버 위협’을 기정사실화하고 공동대처요 뭐요 하면서 분주탕을 피우고 있는 것은 우...

news.khan.co.kr

2016년 2월에는 국제 은행 거래망인 스위프트 전산망을 해킹해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이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예치해둔 1억100만달러 중 8100만달러를 빼돌리기도 했다.

 

북한의 해커들은 중국의 전산망을 우회해서 해킹으로 돈을 탈취함으로써 스위프트 전산망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

미국은 그래서 북한의 해커들을 공개수배했다.

 

중국은 미국의 스위프트 전산망 배제 얘기가 있고나서 중국은 자체적으로 국제결제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했다.

 

중국은 2015년부터 위안화 국제결제시스템(CIPS⋅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 운영에
들어가고 이를 확대하는데 박차를 가하는 것도 미국의 금융봉쇄에 대응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왜 디지털 위안화일까?

 

어차피 송금은 인터넷상으로 오고가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위안화 실물화폐까지 오고 갈 필요가 없다.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결제하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디지털 위안화를 쓰면 여러가지 쓸모가 있다.

 

1. 전염병에 대해 안전하다.

 

요즘같은 코로나 상황에서 종이돈을 주고 받는 것은 아무래도 위험하다.

게다가 이미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을 통해서 QR코드를 찍어 돈을 주고 받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2. 감시가 가능하다.

 

위안화의 흐름을 확실히 인민은행이 알 수 있다.

돈의 흐름이 보이므로 누가 부정축재를 했는지 세금을 탈루했는지 알 수 있다.

 

3. 디플레이션 에 강하다.

 

지금은 디플레이션 시대다.

이유는 고령화, 인터넷 쇼핑, 중국의 저렴한 노동력, 기계화 등으로 인해 물가가 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이화폐를 모두 없앤 상태에서는 디지털통화에 마이너스 금리를 매겨 디플레이션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지금은 은행예금에 마이너스 금리 매긴다면 모든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찾아다가 집의 금고에 보관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종이화폐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그러면 은행에서 돈을 찾는 행위 자체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모든 돈이 디지털화폐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억지로라도 돈을 써야 할 것이고 돈을 쓰면 통화량이 늘어나고 경제가 돌아간다.

따라서 중앙은행에서 금리조절을 통한 통화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위안화 국제결제통화 시스템은 쉽게 될 것 같지 않다.

왜냐하면 세계의 은행을 모두 중국편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이 호주에서 철광석을 위안화로 사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중국의 은행은 위안화를 쓰니 관계없다.

그러나 철광석 광산을 운영하는 회사의 주거래 은행인 호주의 은행이 위안화 결제시스템 안에 들어와야 한다.

그런데 호주의 은행이 이렇게 했다가 미중간의 사이가 나빠지면 미국에게 제재를 당할 수 있다.

그리고 위안화를 가지고 어디다 쓰는가?

석유를 사오나? 식량을 사오나?

아무 쓸데가 없는 통화다.

그런데 세계의 모든 은행을 위안화 결제통화시스템안으로 들여온다면 그것은 현재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중국은 생존과 관련한 자원, 식량, 에너지 등과 같은 중요한 것만 할 것이다.

중국을 일대일로를 통해서 말이다.

그래서 중국은 아프리카에 철도, 도로 등 인프라 놔주고 위안화로 결제를 하고 있다.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자원을 가져오고 있다.

 

美가 방관하는 틈타…中, 백신 내밀며 '실크로드' 깐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22217411

 

美가 방관하는 틈타…中, 백신 내밀며 '실크로드' 깐다

美가 방관하는 틈타…中, 백신 내밀며 '실크로드' 깐다, 러시아·인도·중국 '백신외교전' 中, 아프리카 등 60여개국에 지원 인도, 네팔 등 접경국에 무상공급 러, 동유럽·남미 등에 수출 확대

www.hankyung.com

중국 정부와 시노팜, 시노백, 칸시노 등 중국 제약사들은 개발도상국에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하기 위한 밑작업을 진작부터 시작했다.
아프리카에서 중국산 백신 공급의 허브 역할을 하는 에티오피아의 경우 공항 화물터미널에 축구장만 한 저온저장시설이 마련돼 있다.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의 “코로나19 백신 확보가 핵무기 구매보다 어렵다”는 말이 시사하듯 현재 국제 외교에서 가장 강력한 자원은 백신이다.

 

일대일로 이외에도 코로나19사태를 계기로 백신을 아프리카 등에 공급하고 있다.

물론 이것도 중국이 아프리카에 디지털 위안화를 국제화하기 위한 밑밥이다.

 

앞으로 에너지 안보를 위해 중동, 러시아 등과 위안화 결제시스템을 논의 할 수 있다.

식량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과 협의해야 한다.

 

그러나 미국은 중동에서 시리아 내전과 전쟁을 지원하거나 IS를 만들어 중동을 화약고로 만들 수 있다.

미국은 무기도 팔아먹고 중동도 제재하고 일석이조다.

 

남미는 디폴트 만들고 러시아는 인권 문제나 정치적 문제 를 내세워 제재를 하면 된다.

 

중국이 국제결제통화가 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1. 군사력

중국은 미국보다 약한 군사력에 있다.

미국이 남미를 디폴트 만들고 러시아, 이란, 북한을 제재 하는데도 이들이 가만 있는 이유는 미국의 강력한 군사력에 있다.

 

 

2. 재정적자

중국은 소비를 통해 재정적자로 위안화를 세계에 뿌릴 여유가 없다.

미국은 재정적자를 감수하고 달러를 뿌려 세계인이 쓰게 한다.

그러나 중국은 아직 개발도상국일뿐이다.

 

3. 투명성

중국의 위안화는 얼마가 발행되었는지 모르고 중국의 재정상태가 어떤지 모르는 상황이다.

그러니 중국을 믿고 위안화를 국제결제통화로 만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중국은 미국의 GDP에 70%수준까지 근접했다.

미국은 중국과의 전쟁은 필연적이다.

따라서 미국은 무역전쟁에 이어 금융전쟁을 할 것이고 금융전쟁이 통하지 않으면 결국 무력전쟁까지 갈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은 중국에 전쟁도 하지않고 패권을 넘겨줄 나라가 아니기 때문이다.

 

결론 : 앞으로 미국의 달러블록과 중국의 위안화블록으로 나뉘어 편가르기를 할 것이다.

 

2) 매뉴얼 :

1. 나스닥 -3% 뜨기 전까지는 세계1등 주식은 떨어져도 팔지 않고 가져 간다.

2. 나스닥 -3%가 뜨면 세계1등의 떨어진 비율을 감안해 남겨 두거나 전량 매도 후 비율대로 말뚝을 박고 한달+1일 기다린다.

 

예를 들어 애플이 전고점 대비 20% 떨어진 지점에서 나스닥 -3%가 떴을 경우 즉 100달러가 전고점이라고 치자

현재 -3%가 떴고 애플은 80달러에 거래 된다면 20%가 떨어진 지점일 것이다.

그러면 100% 전량 매도 하는 것이 아니라 20% 떨어졌다면 5%당 10%씩을 말뚝 박는 것이니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그러니 60%만 매도하고 40%는 남겨두는 것이다.

전량 매도 후 말뚝박기는 100% 전량 매도 후 20% 떨어진 80달러 지점에 자산의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3)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다가 포모(주식을 판 가격보다 오를 것에 대한 두려움)가 두렵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고 -3%때 판 가격보다 단 1불이라도 떨어졌다면 전량 매수하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JD부자연구소 인강 사이트 (구글에서 제이디 부자연구소 검색)

PC URL : https://www.jordan777.com/main/index.jsp

 

JD부자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JN8yfW2p6Gd8-wZ04pGA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