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위기는 끝이 나는가?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공황 끝

나스닥 -3% 후 한달이 지났으므로 공황이 끝남

오늘 새벽 6시에 애플 매수 시작!!!

  •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 공황이 끝나면 미국 일등 주식인 애플을 매수한다.
날짜 종가 상승률
2021년 2월 8일 13,987.64 0.95%
2021년 2월 9일 14,007.70 0.14%
2021년 2월 10일 13,972.53 -0.25%
2021년 2월 11일 14,025.77 0.38%
2021년 2월 12일 14,095.47 0.50%
2021년 2월 16일 14,047.50 -0.34%
2021년 2월 17일 13,965.50 -0.58%
2021년 2월 18일 13,865.36 -0.72%
2021년 2월 19일 13,874.46 0.07%
2021년 2월 22일 13,533.05 -2.46%
2021년 2월 23일 13,465.20 -0.50%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0년 10월 28일 10,632.99 -3.02%

공황이 끝나는 시점

  • 2020년 11월 29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위기는 끝이 나는가?

 

<뉴욕마켓워치> 비둘기 파월 재확인…주가·국채 혼조·달러↑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3866

 

<뉴욕마켓워치> 비둘기 파월 재확인…주가·국채 혼조·달러↑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23일(이하 미 동부시간)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장중 낙폭을 되돌리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에 부담이 커졌지만,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66포인트(0.05%) 상승한 31,537.3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87포인트(0.13%) 오른 3,881.37에 거래를 마감했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67.85포인트(0.5%) 하락한 13,465.20에 장을 마쳤다.

 

어제 나스닥은 0.5% 하락했고 S&P500 지수는 0.13%, 다우지수는 0.05% 올랐다.

 

나스닥은 장 초반에 -4%까지 밀리면서 -3%가 뜨는 것이 아닌가 했지만 파월의 발언 이후 낙폭을 많이 회복하면서 끝났다.

 

메인 이슈 :

위기는 끝이 나는가?

 

어제 테슬라는 장초반 -13%까지 밀리면서 600불대로 진입했고 애플도 4% 넘게 빠지면서 폭락 조짐을 보였다.

하지만 파월의 발언 이후 빠르게 회복했다.

애플은 한 때 플러스로 돌아서기도 했다.

 

그는 "경제 재개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적이고 크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물가가 문제가 될 정도로 오를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파월은 별 얘기 안 했다.

지금까지 한 얘기의 반복이었다.

원래 연준의장의 발언이 예정되기 전에 시장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가 연준의장 발언 이후 오르느냐? 떨어지느냐? 가 중요하다.

발언 이후 오른다면 이것은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줬다는 것이고 앞으로의 시장에는 같은 이슈로 더이상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발언 이후 떨어진다면 부정적인 신호를 줬다는 신호이고 위험신호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위험신호로는 2018년 10월 위기가 그렇다.

당시 나스닥은 고점대비 -30%까지 빠졌다.

이유는 금리인상기였는데 금리를 더 올릴 것이냐에 대한 파월의 답변이 앞으로 더 올린다는 코멘트를 한 이후 시장은 폭락했다.

 

어제는 10년 물 금리가 1.4를 뚫고 1.5% 갈 상황이었는데 파월의 발언 이후 1.3대로 떨어지면서 시장은 안정되었다.

이렇게 한번 이슈가 끝나면 같은 이슈로 더 이상 빠지지 않는다.

물론 2%대까지 빠르게 올라간다면 다시 한 번 시장은 충격을 받겠지만 그 전까지 당분간은 괜찮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론 : 금리 상승으로 인한 위기는 가라 앉았다.

 

1) 서브 이슈 :

비트코인은 거래의 수단이 될 수 있나?

 

머스크에 흔들, 옐런에 휘청…비트코인 '비틀비틀'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2239880i

 

머스크에 흔들, 옐런에 휘청…비트코인 '비틀비틀'

머스크에 흔들, 옐런에 휘청…비트코인 '비틀비틀' , "비싸다" "투기성 강하다" 언급에 아침엔 6300만원, 밤엔 5200만원 최고가 찍고 하루 만에 10% 폭락

www.hankyung.com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뉴욕타임스 콘퍼런스에서 “비트코인은 투기성 강한 자산이고, 변동성이 극도로 높다는 점을 사람들이 알아야 한다”고 했다.

 

재닛 옐런 뿐 아니라 일론 머스크도 비트코인의 가격이 높다는 발언을 한 이후 비트코인은 폭락을 했다.

 

지난 22일 오전 4시께 역대 최고가(6580만원)를 경신한 비트코인은 오후 11시 넘어 순식간에 5450만원까지 주저앉는 등 크게 출렁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가격 변동이 큰 비트코인은 화폐가 될 수 있는가?

화폐는 교환의 매개수단, 가치저장의 수단 그리고 가치척도의 단위로 기능한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화폐의 가장중요한 수단인 교환의 매개수단으로는 안 될 것 같고 가치저장의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이 교환의 수단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느리다.

일단 결제하는데 시간이 너무 느리다.

짧게는 5분 길게는 한 시간도 걸린다.

 

2. 시세가 지속적으로 변한다.

결제를 하는동안 시세가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에 결제가 힘들다.

0.0000 소숫점까지 계산해서 변하는 가격으로 물건값을 치뤄야 하기 때문에 복잡하다.

 

3.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그레샴의 법칙이다.

 

서로 대등한 액면가치를 갖는 재화 A와 B가 있다고 하자.

A는 순수 금화이고 B는 합금으로 된 저질 주화라고 한다면, B의 소재 가치는 A보다 재질 가치가 훨씬 낮고, 당연히 B의 생산 원가도 A보다도 훨씬 싸다.

그러면 사람들은 남에게 지불할 때는 B를 이용하고 실질적인 가치가 높은 A는 자기가 보관하려고 할 것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시장에서 양화인 A는 사라져 가고 악화인 B만 통용된다.

 

비트코인도 2100만개로 채굴이 한정되어 있으니 희귀하다.

따라서 비트코인은 시간이 지나면서 희귀해질 것이고 달러는 양적완화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그래서 비트코인은 한 때 고점인 2000만 원대를 넘어 현재는 5000만 원대까지 갔다.

따라서 사람들은 비트코인을 금화로 여겨 보관을 할 것이고 달러, 원화 등은 지속적으로 교환의 수단으로 쓸 것이다.

물론 비트코인이 희소하다고 해서 무조건 오른다는 뜻은 아니다.

어떤 이유로 인해 가치 자체가 없어질 수도 있다.

예를들어 초기 채굴된 비트코인이 대량으로 쏟아진다거나 미국 등의 제재로 가격이 폭락할 수도 있다.

 

결론 : 비트코인은 화폐의 기능인 교환보다는 가치저장의 수단으로 쓸 것이다.

 

2) 서브 이슈 :

민주당이 불체자에게 시민권을 주는 이유

 

바이든, 불체자에 시민권 추진…트럼프 탄핵 심판 박차

https://www.voakorea.com/world/america-now/biden-immigration-overhaul

 

바이든, 불체자에 시민권 추진…트럼프 탄핵 심판 박차 

생생한 미국 뉴스를 전해 드리는 ‘아메리카 나우’ 시간입니다.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들이  있습니까?                 기자) 조 바이든 대

www.voakorea.com

2021년 1월 현재 미국에 체류중인 사람들 중에서 자격 조건을 갖춘 사람들에게 먼저, 5년동안 임시 체류 신분을 부여하는데요. 그러고 나서 신원조회와 납세 기록 점검 등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경우, 영주권을 발급합니다. 그 뒤로 3년이 지나면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바이든은 불법체류자를 시민권자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

 

왜 그럴까?

 

이유는 당연히 표 때문이다.

민주당의 표밭은 이민자, LGBT, 고학력 백인 등이다.

공화당의 표밭은 주로 백인 저소득층이다.

 

민주당이 공화당보다 더 선거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이민자다.

백인 저소득층은 안 늘어나는 반면 이민자는 숫자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0만 명의 불법체류자가 시민권을 갖는다면 당연히 민주당에게 유리하다.

 

바이든, 최저임금 시간당 15달러로 인상 추진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1222237001&code=970201

 

바이든, 최저임금 시간당 15달러로 인상 추진

CNN 등 미국 언론이 2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이날 연방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분야와 관련된 행정명...

news.khan.co.kr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시간당 최저임금을 현재의 7.25달러(8000원)에서 15달러로 2배 이상 인상하겠다고 공약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현재 추진중인 1조9000억 달러(약 2099조원) 규모의 코로나19 부양책에도 최저임금의 점진적 인상 계획을 포함시켰다.

 

이번 코로나19 부양법안에 최저임금 법안을 끼워 넣었다.

민주당은 왜 최저임금 법안을 끼워 넣었을까?

그들의 표밭이 저소득층이 많아서일까?

물론 그럴수도 있지만 최저임금이 올라가면 더 많은 이민자를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2021년 최저임금이 올해 8590원에서 8720원으로 130원 올랐다.

이에 따라 기본급도 2020년 179만5310원에서 2021년 182만2480원으로 결정됐다

 

미국의 최저임금이 시간당 15달러가 되면 한국 돈으로 약 16,650원이다.

따라서 한국 최저임금의 약 2배다.

그러면 산술적으로 계산했을 때 최저임금은 약 182만 원의 2배인 364만 원이 된다.

 

그러면 멕시코나 중남미에서 커피 농장에서 커피 잎 따는 아이들의 월급이 얼마나 될까?

한 달에 5000원 정도 한다.

 

그러면 생각해보자.

중남미에서 죽어라 커피잎을 딸 것인가?

아니면 미국으로 가서 담치기 할 것인가?

 

당연히 담치기 한 번만 하면 불법체류자가 되겠지만 담치기 한 번에 자기 월급의 700배를 넘게 벌게 된다.

그러니 미국으로 오려는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 것이고 지금보다 훨씬 많은 아이들이 불법체류자가 될 것이고 불법체류자는 앞으로 8년 만 게기면 미국 시민권자가 될 것이다.

 

물론 이들은 민주당에 표를 몰아줄 것이다.

 

미국은 민주당, 빅테크, 빅미디어, 빅머니, 딥스테이트 등이 한 몸이다.

민주당에 유리한 것은 빅테크에도 유리하다.

 

대부분의 선진국은 고령화가 심각하다.

왜냐하면 1945년에 전쟁이 끝나서 1948년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은 다르다.

미국은 선진국 중 이민을 다른나라보다 훨씬 많이 받아들였다.

그래서 인구구조가 역삼각형 구조가 아닌 피라미드형 구조다.

불법체류자, 이민자들은 생산활동을 한창 할 중장년층이 많고 그들이 데려온 어린 자녀들이 많다.

따라서 이들이 많아질수록 소비는 왕성해진다.

그리고 고령화로 인한 건강보험 문제나 부채에서 자유로워진다.

사회가 고령화가 되면 부채가 문제가 되는데 그것은 생산가능인력보다 생산을 하지 않는 노인 인구가 많아서다.

그러나 미국은 고령화 면에서 신흥국과 다름없다.

따라서 이민자들은 산업에 있어서는 지속적으로 싼 노동력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니 소비와 공급측면에서도 빅테크에도 유리하다.

 

그러나 이민자로 손해보는 계층이 있다.

백인 노동자층이다.

이민자로 인해 백인 저소득층 일자리 감소와 임금상승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공화당이다.

 

결론 : 민주당에서 보면 이민자는 표밭이다.

 

2) 매뉴얼 :

1. 나스닥 -3% 뜨기 전까지는 세계1등 주식은 떨어져도 팔지 않고 가져 간다.

2. 나스닥 -3%가 뜨면 세계1등의 떨어진 비율을 감안해 남겨 두거나 전량 매도 후 비율대로 말뚝을 박고 한달+1일 기다린다.

 

예를 들어 애플이 전고점 대비 20% 떨어진 지점에서 나스닥 -3%가 떴을 경우 즉 100달러가 전고점이라고 치자

현재 -3%가 떴고 애플은 80달러에 거래 된다면 20%가 떨어진 지점일 것이다.

그러면 100% 전량 매도 하는 것이 아니라 20% 떨어졌다면 5%당 10%씩을 말뚝 박는 것이니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그러니 60%만 매도하고 40%는 남겨두는 것이다.

전량 매도 후 말뚝박기는 100% 전량 매도 후 20% 떨어진 80달러 지점에 자산의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3)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다가 포모(주식을 판 가격보다 오를 것에 대한 두려움)가 두렵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고 -3%때 판 가격보다 단 1불이라도 떨어졌다면 전량 매수하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JD부자연구소 인강 사이트 (구글에서 제이디 부자연구소 검색)

PC URL : https://www.jordan777.com/main/index.jsp

 

JD부자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JN8yfW2p6Gd8-wZ04pGAkg


www.youtube.com/watch?v=v0ZtMxvqa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