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2020년 8월 13일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완전한 공황 종료!!!

나스닥 지수

날짜 종가 등락율
2020년 08월 13일 11,012.24 0.27%

공황 끝 이후 매뉴얼

  • 2020년 8월 12일까지 -3%가 뜨지 않았으므로 완전히 공황이 종료됨
  • 현재부터 애플 주식을 매수 시작하면 됨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0년 06월 11일 9,492.73 -5.27%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8%이상 차이나므로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뉴욕마감]지수별 혼조…고용 호조 vs. 추가 부양 난망

. https://www.news1.kr/articles/?4026077

 

[뉴욕마감]지수별 혼조…고용 호조 vs. 추가 부양 난망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S&P 장중 사상 최고 경신: 12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80.12포인트(0.3%) 내린 2만7896.72를 기록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도 6.92포인트(0.2%) 하락한 3373.43으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나스닥은 30.26포인트(0.27%) 올라 1만1042.50을 기록했다.

 

어제 나스닥은 소폭 올랐다.

 

그런데 다우와 S&P500은 모두 떨어졌다.

 

나스닥도 애플(1.77% 상승)과 테슬라(4.26% 상승)가 상승해서 그나마 선방한 것이다.

아마존(0.04%하락), 마이크로소프트(0.23% 하락)는 떨어졌다.

 

애플의 상승 이유는 무엇인가?

 

'고공행진' 코로나19 넘어 시총 2조달러 넘보는 애플

.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81410271384894

 

'고공행진' 코로나19 넘어 시총 2조달러 넘보는 애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주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애플이 시가총액 2조달러(약 2370조원)을 넘보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욕 나스닥에서 애플의

www.asiae.co.kr

 

이날 애플의 주가를 끌어올린 것은 새로운 구독 서비스 준비 소식이다. 블룸버그는 애플이 '애플 원'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을 것이라고 전했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애플 뮤직과 애플TV+를 비롯해 뉴스와 게임 등 구독형 서비스를 하나로 묶어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것이다. 또 구독형 온라인 피트니스 강좌를 출범하는 것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원은 이르면 오는 10월 아이폰12 출시와 함께 서비스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이 조금만 더 오르면 2조 달러다.

그런 애플이 구독서비스를 한다고 해서다.

 

요즘에 순환매 장세라고 한다.

기술주 떨어지고 가치주 올라간다고 말이다.

그러나 가치주는 살짝 올랐다가 너무 빨리 떨어진다.

그리고 기술주가 장을 이끈다.

 

따라서 가치주인 보잉, 카니발, 웰스파고 등은 떨어졌을 때 그것도 아주 많이 떨어졌을 때 샀다가 오를 때 파는 것이 나을 것으로 보인다.

 

어제 금과 은이 올랐다.

은은 폭등을 했다.

무려 8.67% 올랐다.

 

은은 오를 때도 내릴 때도 마치 잡주처럼 움직인다.

은을 사고 싶다면 폭락했을 때 사고 버텨야 한다.

 

금과 은을 정리했다.

왜냐하면 금, 은은 대응시나리오가 없다.

 

금과 은이 미국의 화폐유동성 때문에 올라 갈 것을 알고 있지만 믿음이 없어서다.

애플(세계1등)은 앞으로 장기간으로 보면 올라갈 것을 알고 있고 믿고 있다.

따라서 조금 떨어져도 흔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나스닥 -3% 뜨면 팔면 되지 않는가?

그러나 금, 은은 이런 매뉴얼이 없다.

그래서 심하게 떨어지면 흔들리게 된다.

판 이유는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다.

 

그리고 9월에 백신이 나온다면 조정이 있을 것 같아서다.

백신이 안 나온다면 금, 은은 최고의 투자상품이 될 것이다.

그러나 백신이 나와서 경제활동이 재개된다면 금, 은은 조정을 받을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이자, 배당도 없는 금,은보다는 주식, 채권이 더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채권은 현재 풀린 채권의 양만으로도 많아서 채권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다.

 

美국채 떠난 글로벌자금 "위험자산 베팅"

.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0/08/835631/

 

美국채 떠난 글로벌자금 "위험자산 베팅"

대표 안전자산 美국채ETF 순매도 상위10위중 5개 포함 美 물가·고용지표 살아나고 코로나 확진줄어 경기부담 뚝 주식 연계 ETF 대거 순매수

www.mk.co.kr

 

 

지난달 미 증시가 주춤하는 사이 미 국채를 떠난 ETF 투자자들은 금ETF, 하이일드ETF 등으로 몰렸다. 그러나 8월 들어서는 S&P500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SPDR S&P500 ETF Trust가 자금 순유입 순위 1위를 기록 중이다.

 

7거래일 만에 무려 2조2800억원의 거금이 몰렸다. 위험자산에 대한 기대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평가다.

 

지금은 경제재개의 시그널이 강하니 채권보다는 주식으로 간다는 얘기다.

 

그러나 주식이 안전한 것만은 아니다.

 

만약 가을에 2차 펜데믹이 오면서 백신개발이 지지부진하다면 주식은 떨어지고 금, 은 그리고 채권의 인기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애플이 고점 대비 10% 떨어진다면 양적완화 축소 전까지는 애플을 팔고 QQQ가 아닌 금의 비율을 10%씩 늘려나갈 생각이다.

 

애플 데쓰밸리 관련 2012년 -45%건의 매뉴얼 추가 수정

. http://cafe.daum.net/jordan777/Bm2o/960

 

Daum 카페

 

cafe.daum.net

 

참고 칼럼이다.

 

앞으로 나스닥이 -3%가 뜬다면 주식은 전량 매도 후 양적완화 축소 전까지는 채권(TLT)보다는 금(IAU, GLD등)을 살 예정이다.

그리고 한 달안에 -3%가 더 이상 없다면 매뉴얼대로 한 달+1일 후에 세계1등 주식을 매수할 예정이다.

 

위의 상황은 공황이후 -3%에 대한 매뉴얼이다.

 

◇ 주간실업 수당 100만건 하회: 이날 증시에서는 지표 호재와 의회 악재가 팽팽하게 맞섰다.

지난주 주간실업 수당청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이후 처음으로 100만건 밑으로 내려 왔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는 96만건으로 2주 연속 다시 감소세를 이어갔다. 또, 3월 중순 이후 처음으로 100만건을 하회했다. 비필수 업종의 폐쇄 조치 이후 21주 만에 처음으로 100만건을 하회한 것이다.

 

실업수당을 받는 사람이 줄었음에도 증시는 좋지 않았다.

이것보다는 아직 경기 추가부양안에 대한 악재가 더 크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애플·포드·월마트 등 위챗 금지 방안에 우려

. http://www.fnnews.com/news/202008140640572075

 

애플·포드·월마트 등 위챗 금지 방안에 우려

[파이낸셜뉴스] 중국 SNS 앱 위챗 로고와 중국 오성홍기. 로이터뉴스1 애플, 포드자동차, 월마트, 월트디즈니, 프록터앤드갬블(P&G)K 인텔, 골드만삭스, 모간스탠리, UPS, 머크, 메트라이프, 카길... ��

www.fnnews.com

 

위챗은 중국을 포함해 전세계 12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앱이다. 중국에서는 위챗이 소비자, 기업, 정부 모두에 같은 비중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위챗을 통해 모바일 결제, 메시지, 전자상거래, 정부 공식 안내문 배포 등이 이뤄진다. 

 

미국내 위챗 금지는 애플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중국 앱스토어에서 위챗을 삭제하라 하면 애플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대선 전에 위챗 삭제를 명령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파장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위챗 앱스토어의 삭제는 애플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챗이 중국 앱스토에서 삭제 된다면 굳이 애플폰을 사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중국에서는 위챗을 통해 모든 것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부동산 톡톡]코로나19 이후 시부야의 왕 ‘도큐 부동산’이 노리는 반전

. https://www.sedaily.com/NewsView/1Z6KQTM7V0

 

[글로벌 부동산 톡톡]코로나19 이후 시부야의 왕 ‘도큐 부동산’이 노리는 반전

도쿄 시부야 일대 전경일본의 부동산 회사들은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테면 미쓰이 부동산은 니혼바시, 미쓰비시지쇼는 마루노우치, 모리빌딩은 롯폰기를 기반으��

www.sedaily.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시부야 오피스 시장의 분위기가 180도 달라졌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확대하면서 사무실 수요가 줄고, 기존에 입주한 기업들도 사무실 면적을 줄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IT 기업들이 밀집된 시부야 지역이 더 큰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미키쇼지에 따르면 지난 6월 도쿄 5대 도심 중 시부야구의 오피스 공실률이 3.38%로 가장 높았습니다. 시부야구의 공실률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전인 지난 2월 1.87%에서 1.51%포인트나 올랐습니다.

 

반면 치요다구(1.39%), 쥬오구(1.44%), 미나토구(2.33%), 신주쿠구(2.24%)의 공실률은 시부야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스타트업들이 많이 입주해 있는 시부야 중소형 빌딩의 공실률이 급상승 했다고 합니다. 한 오피스 중개인은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시부야에서는 7월 들어 임대료를 20%나 낮추는 경우도 보인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일본에서도 IT가 많은 시부야에서는 공실률이 높아지고 임대료를 낮추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이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위워크, 소프트뱅크에서 11억달러 차입

. https://www.fnnews.com/news/202008140654427858

 

위워크, 소프트뱅크에서 11억달러 차입

[파이낸셜뉴스] 미국 사무실공유업체 위워크가 13일(현지시간) 소프트뱅크로부터 11억달러 자금을 확보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지난해 9월 30일 샌프란시스코의 위워크 사무실 전

www.fnnews.com

 

사무실 공유업체 위워크가 소프트뱅크의 추가지원 확보에 성공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3일(이하 현지시간) 위워크가 소프트뱅크에서 11억달러를 추가로 빌리는데 합의했다고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프트뱅크의 손정의가 비전펀드로 투자된 회사 중에 위워크가 가장 실패한 기업이었다.

그런데 소프트뱅크에서 11억 달러를 추가로 빌려줬다.

 

요즘 재택근무가 유행이기는 하지만 집에서 근무하는 것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니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인근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에서 근무를 하려고 하지만 안 갖춰진 것이 너무 많다.

복사도 팩스도 안 되고 근무환경도 떨어진다.

그래서 중소도시들 위주로 사무실을 구하는 수요가 많아졌다.

그 대안이 바로 위워크다.

따라서 소프트뱅크에서 추가 지원을 해준 것이다.

 

코로나로 인해 대도시 상업용 건물들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너무 꼬마빌딩 찾을 필요 없다.

코로나의 트라우마는 몇 년 갈지 아니면 패턴을 아주 바꿀지 모르는 일이다.

 

결론 : 매뉴얼대로 하면 된다.

세계 1등 주식을 사면 20년 후에는 부자가 될 수 있다고 믿고 따르면 된다.

믿음이 없으면 흔들려서 투자할 수가 없다.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의 것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Ce47nn7ya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