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주식투자 하기 좋은 나라는?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나스닥 -3% 룰에 의한 공황 시작 

나스닥 -3% 이상 폭락으로 전량 매도 매뉴얼 발동

  •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날짜 종가 상승률 연속 상승일
2020년 10월 19일 11,478.88 -1.65% 0일차
2020년 10월 20일 11,516.49
0.33% 1일차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0년 09월 23일 10,632.99 -3.02%

공황이 끝나는 예상 시점

  • 2020년 10월 24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유튜브

www.youtube.com/watch?v=Qh3SD7H2Iew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주식투자 하기 좋은 나라는?

 

<뉴욕마켓워치> 다시 높아진 부양 기대…주가↑국채↓달러 혼조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3096

 

<뉴욕마켓워치> 다시 높아진 부양 기대…주가↑국채↓달러 혼조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20일(이하 미 동부 시각)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재정 부양책 타결 기대로 상승했다. 미국 국채 가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백신 개발과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3.37포인트(0.40%) 상승한 28,308.7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6.20포인트(0.47%) 오른 3,443.1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7.61포인트(0.33%) 상승한 11,516.49에 장을 마감했다.

 

어제 나스닥은 0.33% 올랐고 S&P500은 0.47%, 다우는 0.4% 올랐다.

 

많이 오르지도 떨어지지도 않았다.

시장은 부양책 통과라는 기대는 하지만 크게 기대는 않는 모양새다.

그러니 증시도 뜻뜻 미지근하게 가고 있다.

다만 오늘부터 IT주식의 실적장세가 펼쳐지고 있으니 개별주식은 어닝 서프라이즈 하느냐? 쇼크가 나느냐에 따라 주가가 형성 될 것이다.

 

美 추가부양책 합의 기대감 껑충…백악관·민주당 “낙관적” 한목소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607606625935216&mediaCodeNo=257&OutLnkChk=Y

 

美 추가부양책 합의 기대감 껑충…백악관·민주당 “낙관적” 한목소리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 (사진=AFP)[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백악관과 민주당이 벌이고 있는 추가 경기부양책 협상과 관련, 양측 모두 “합의에 가까워졌다”며 결과를 낙관했다. 백악관

www.edaily.co.kr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백악관과 민주당이 벌이고 있는 추가 경기부양책 협상과 관련, 양측 모두 “합의에 가까워졌다”며 결과를 낙관했다. 백악관이 기존보다 부양책 규모를 더 늘려 민주당에 제시한 덕분이다. 이에 따라 내달 3일 미 대통령 선거 이전에 부양책이 시행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부쩍 커졌다.

 

대선 이전에 경기부양책이 통과가 될까?

 

트럼프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말에 맞장구를 치면서 1조 9000억 얘기하고 있다.

민주당의 원안인 2조2000억 달러와는 3000억 달러 밖에 차이가 안 난다.

그러나 대선 이전에 경기부양책 통과가 될까?

 

내가 보기엔 이번 주말까지 협상을 미룬다고 했는데 아마도 선거가 지난다음에 통과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서로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1. 공화당이 장악한 상원

 

일단 민주당은 2조 2천 억 달러를 밀어서 나쁠 것이 없다.

만약 통과가 되면 선거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나 안 된다 하더라도 누가 경기부양책 통과에 소극적이었는지 공격을 하면 민주당의 표는 확실히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나 공화당 상원이 주장하는 5000억 달러에는 합의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 통과시키면 공화당의 승리가 되기 때문이다.

만약 2조 2천 억 달러를 밀고 있는 민주당이 5000억 달러를 통과시키면 공화당이 원하는 그림에 놀아준 꼴밖에 안 되니까 말이다.

공화당이 5000억 달러 통과시켜 노는 것보다는 일하는 것이 더 많이 벌 수 있게 한다면 공화당이 나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민주당이 원하는 저소득층을 위한 돈을 뿌리는 것이 아니라 공화당이 기업이나 실업수당이 과도하게 가지 않도록 짜 놨기 때문에 땡큐다.

그리고 공화당 상원은 민주당 법안 통과를 선거 이후로 미루면 되기 때문에 공화당만 얻을 것을 얻는다.

 

2. 민주당

 

이것을 모를리가 없는 민주당은 2조 2천억 달러 모두 통과시켜야 한다고 그러는 것이고 5000천 억 달러를 주장하는 공화당 상원의 법안은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2조 2천 억달러 통과를 밀어 붙이고 있는 것이다.

되도 그만 안 되도 그만이다.

왜냐하면 부양책 통과의 공은 상원으로 넘어갔기 때문이다.

그러니 민주당은 지속적으로 빨리 표결에 붙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면서 언론 플레이를 한다.

만약 선거 전에 법안을 상원에 올렸는데 민주당 법안 통과가 부결이라도 된다면 공화당 상원 잘못이라며 총공격을 할 것이다.

따라서 공화당이 장악한 상원은 민주당 법안을 표결에 붙일 이유도 없다.

올라온 법안을 11월 3일 이후로 미루려 할 것이다.

 

3. 트럼프 행정부

 

트럼프 행정부는 한 술 더 뜬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민주당이 원하는 것보다 더 큰 규모의 부양책을 원한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기대감을 한층 높였다. 다만 공화당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데다, 백악관과 민주당 모두 여전히 큰 이견이 남아 있다고 밝히면서 결과를 속단하긴 이른 상황이다.

 

트럼프도 선거를 해야 한다.

따라서 자신이 법안 통과가 안 된 주역이라고 프레임이 씌워지면 자신의 지지층인 저소득 백인노동자의 분노를 살 것이다.

그러니 더 큰 규모의 부양책을 원한다면서 이빨을 털고 있는 중이다.

트럼프는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한다.

그러면 결국 공은 공화당이 장악한 상원으로 갈텐데 공화당 상원이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의 법안을 통과시켜 줬다가는 이번 상원의원 선거에서 포퓰리즘 정책을 막지 못했다고 해서 대거 역풍을 맞을 것이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이날 상원 오찬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선거를 앞두고 공화당을 분열시킬까 걱정된다”며 “선거 전 경기 부양책에 합의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가 트럼프가 민주당이 원하는 것보다 더 큰 것을 원한다는 얘기에 상원이 폭탄을 떠 안을 수 없으니 대통령 입 터는 것은 좀 자제하라고 분열이라고 얘기한 것이다.

 

결국 경기부양책은 폭탄 돌리기를 하는 중이다.

 

4. 시장

 

시장은 어차피 11월 3일 선거일 이후에 경기부양책은 통과가 될 것이라 생각하고 미리 선반영 중이다.

그래서 조금씩 주가가 오르고 있는 중이다.

이번 이슈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듯 보인다.

그러나 만약 법안 통과 부결이라도 된다면 크게 떨어지며 반응할 것이다.

그러니 증시 하락을 염두에 둔 낸시 펠로시는 48시간이 협상 데드라인이 아니라 협상장에 앉는 시간을 얘기하고 주말까지는 될 것이라며 계속 미루고 있는 중이다.

 

왜 이렇게 얘기했을까?

 

만약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48시간 안에 협상이 안 되었으니 경기부양책 일정을 보이콧 하겠다고 했다면 협상이 깨진 것에 대한 모든 책임은 낸시 펠로시가 지게 된다.

합의를 깬 사람이 낸시 펠로시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협상을 하는 척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증시는 9월 초에 나스닥을 10% 떨어뜨리며 실력으로 보여줬다.

 

따라서 민주당, 공화당 모두 시간만 질질 끌며 폭탄 돌리기를 하고 있는 중이다.

증시는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약한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증시가 언제 폭락할지 모른다.

 

그러니 증시는 오른다 하더라도 전고점을 돌파하고 오르는 것은 힘들 것으로 보이며 선거일 전까지는 어느 정도 올랐다면 폭락하고 다시 오르는 박스권 사이클을 탈 것이다.

 

캘리포니아 주지사 “2035년부터 휘발유·디젤 신차 못팔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58966625903400&mediaCodeNo=257&OutLnkChk=Y

 

캘리포니아 주지사 “2035년부터 휘발유·디젤 신차 못팔아”

개빈 뉴섬(왼쪽) 미국 캘리포니아주 주지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주(州)가 2035년부터 휘발유 및 디젤 등 내연기관 차량 판매를 금지하�

www.edaily.co.kr

노르웨이는 2025년부터 모든 승용차의 배기가스 배출을 막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프랑스는 2040년 이후 휘발유·경유 차량 판매를 금지하기로 했으며, 영국은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를 2040년부터 금지하겠다고 밝혔다가 2035년으로 5년 앞당겼다.

 

요즘 친환경이 이슈다.

왜 이슈가 되었을까?

원인은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를 앞당긴다는 것 때문이다.

그래서 이산화탄소를 없애려고 유럽이 먼저 치고 나간 것이다.

 

왜 먼저 치고 나갔을까?

 

이유는 혁신이 없기 때문이다.

 

[투데이] 레이건의 교훈, 대처의 교훈

news.joins.com/article/194528

 

[투데이] 레이건의 교훈, 대처의 교훈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는 자서전에 이렇게 썼다. "1972년부터 85년까지는 노조의 동의없이 영국을 통치할 수 없다는 것이 상식으로 통했다. 어떤 정부도 노조의 파업에 저항조차 못했다. 광산��

news.joins.com

레이건은 관제사들이 자신을 지지한 세력이라는 데 구애받지 않았다. 그는 군용비행장의 관제사들을 동원하고, 자가용 비행기의 운항을 제한해 급한 불을 끄면서 48시간 안에 직장에 복귀하지 않는 관제사들은 해고하겠다는 최후통첩을 냈다. 관제사들은 레이건이 자기들을 해고하지 못할 것이라고 자만했다. 레이건은 48시간 뒤 1만1천5백명의 관제사들의 해고를 단행했다.

 

1980년대 레이건은 관제사 노조를 무력화 시키면서 미국을 해고의 나라로 변모 시켰다.

그러면서 세계에서 가장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었다.

그러나 유럽은 그렇지 못하다.

아직도 노조가 강하다.

때문에 사업을 쉽게 할 수 없다.

그리고 IT기업은 더더욱 하기 힘들다.

사업이 안 되면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데 구조조정이 안 되니 안 차리거나 차라리 미국에서나 차린다.

따라서 미국의 IT기업이 유럽을 장악했다.

검색엔진은 구글이 독점했고 애플이 구글과 함께 스마트폰 생태계를 독점했다.

유럽이 잘 하는 것은 기껏해야 자동차 산업 등 제조업이다.

그런데 제조업도 EU가 통합이 되면서 독일 공장이 체코 등 인근 나라로 이전했다.

왜냐하면 체코의 임금이 독일의 1/4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럽은 성장이 없다.

성장이 없으니 유럽 차원에서 성장률을 올리려고 밀고 나가는 것이 바로 친환경이다.

그런데 친환경을 장악하고 있는 기업이 어디인가?

 

전기차는 테슬라가 만들고 수소차는 현대차가 만들고 배터리는 LG화학이나 중국의 CATL, BYD 같은 곳이 만들지 않는가?

오히려 동아시아나 미국이 이 시장을 먹게 생겼다.

내연기관이 강한데 이런 내연기관은 유럽이 스스로 없애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니 유럽의 주가가 오를리가 없다.

제조업이나 여행 산업 등만 있으니 말이다.

제조업, 여행관련업은 코로나 때문에 쥐약이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주가는 코로나 이전보다 더 떨어져서 전고점 돌파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비해 미국, 한국, 중국 등은 전고점 돌파 후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차원에서 상승을 일으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유럽의 기업은 친환경 이슈에 적응도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한국, 중국 등이 앞으로의 친환경 테마에도 잘 적응하리라 보인다.

 

그러나 친환경 테마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플랫폼이다.

이번에 구글이 게임 이외에 30% 수수료를 내년부터 먹이기로 했다.

 

구글 내년부터 모든 앱 '수수료 30%’ 강제...소비자 부담 늘어난다

www.chosun.com/economy/tech_it/2020/09/29/O2AOWPTQVJB73GSIXXUBT4T54A/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0/09/29/O2AOWPTQVJB73GSIXXUBT4T54A/

 

구글 내년부터 모든 앱 '수수료 30%’ 강제...소비자 부담 늘어난다

구글이 앱 개발자들의 거센 반발에도 내년 중 전 세계 모든 앱의 인앱결제를 강제하고, 수수료 30%를 강행하기로 했다. 자체 결제 시스템을 인정하지 않고 모든 앱 내 결제를 구글 시스템을 통해

www.chosun.com

구글은 기존 앱의 경우 내년 10월 1일부터, 새로 구글플레이에 등록하는 앱은 내년 1월 20일부터 인앱결제 수수료 30% 의무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구글은 이날 블로그 성명을 통해 “자사 앱에서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개발자는 구글 플레이의 결제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며 “우리의 정책이 모든 개발자에게 일관성있고 공정하게 적용되길 바란다”고 했다.

 

한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얼마나 될까?

제조업일수록 경쟁이 심해서 10% 안 되는 곳도 허다하다.

그런데 무려 결제액의 30%를 구글이 가져간다면 모든 영업이익을 구글이 가져가는 것이나 다름없다.

스마트폰의 생태계는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가 꽉 잡고 있다.

 

앞으로 친환경으로 바뀌면 전기차, 수소차로 바뀔텐데 지금 휘발유차에서도 전장화가 진행되고 있다.

즉 차가 스마트폰처럼 가전제품이 된다는 얘기다.

 

삼성전자가 애플보다 시가총액이 1/7인 이유는 무엇인가?

플랫폼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전기차, 수소차 등이 나와도 누가 자동차의 플랫폼을 장악하느냐에 따라서 새로 바뀌는 친환경의 강자가 나타날 것이다.

 

아무래도 앞서는 곳은 테슬라를 비롯한 미국의 IT 기업이 아닐까?

자동차는 전기차가 되겠지만 결국 자율주행이 핵심이 될 것이다.

그러니 자율주행이 가장 앞서는 테슬라, 구글 등이 핵심 기업이 될 것이고 배터리를 만들거나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은 결국 애플이 아닌 플랫폼이 없는 삼성전자처럼 될 것이다.

 

결론 : 주식투자하기 좋은 나라는 미국이다.

결국 승자는 미국의 빅테크 기업이 될 것이다.

 

2) 매뉴얼 :

1. 2020년 9월 23일 -3%가 떴으니

 

달러, 금, TIP, TLT 등을 가져가다가 2020년 10월 24일까지 -3%가 뜨지 않으면 1등 주식을 사면 된다.

24일이 토요일이니 27일 화요일 새벽까지 -3%가 안 뜨면 주식을 사면 된다.

달러 아닌 IAU, TIP, TLT등을 갖고 있는 투자자는 일정 %이하(예를 들어 -5% 등)로 떨어지면 손절하고 달러 들고 기다리자.

 

2. 8거래일 상승 후에도 -3% 위기가 끝났다고 보면 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3)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한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