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자율주행차 전쟁의 시작은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공황 끝

나스닥 -3% 후 한달이 지났으므로 공황이 끝남

오늘 새벽 6시에 애플 매수 시작!!!

  • 매뉴얼 : 나스닥 일간지수가 -3% 뜨면 전량 매도 후 금, 미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갈아타야 한다.
  • 공황이 끝나면 미국 일등 주식인 애플을 매수한다.
날짜 종가 상승률
2020년 12월 28일 12,899.42 0.74%
2020년 12월 29일 12,850.22 -0.38%
2020년 12월 30일 12,870.00 0.15%
2020년 12월 31일 12,888.28 0.14%
2021년 1월 4일 12,698.45 -1.47%
2021년 1월 5일 12,818.96 0.95%
2021년 1월 6일 12,740.79 -0.61%
2021년 1월 7일 13,067.48 2.56%
2021년 1월 8일 13,201.97 1.03%
2021년 1월 11일 13,036.43
-1.25%
2021년 1월 12일 13,072.43
0.28%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0년 10월 28일 10,632.99 -3.02%

공황이 끝나는 시점

  • 2020년 11월 29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자율주행차 전쟁의 시작은

 

<뉴욕마켓워치> 금리 급등 진정…주가↑달러↓유가↑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26988

 

<뉴욕마켓워치> 금리 급등 진정…주가↑달러↓유가↑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12일(이하 미 동부 시각)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금리의 가파른 상승세가 다소 진정된 데다 대규모 재정 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유지되면서 상승했다.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0.00포인트(0.19%) 상승한 31,068.6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58포인트(0.04%) 오른 3,801.1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6.00포인트(0.28%) 상승한 13,072.43에 장을 마감했다.

 

어제는 나스닥이 0.28%, S&P500은 0.04%, 다우존스 지수는 0.19%로 모두 소폭 올랐다.

 

메인 이슈 : 10년 물 금리 하락

 

10년 물 금리 하락이 주가의 상승을 이끌었다.

 

마켓워치·다우존스-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께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수익률은 전 거래일보다 0.5bp 상승한 1.136%를 기록했다. 장중 1.185%까지 올랐다.

 

어제는 1.185%까지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오르면서 시장을 불안하게 했다.

이렇게 오른 이유는 블루웨이브 달성으로 인한 천문학적인 돈풀기가 완성되었고 14일에 바이든이 트릴리온 달러를 풀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 인플레이션 우려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바이든이 천문학적인 돈풀기를 발표하고 시장금리가 지속적으로 올라 2%가 된다면 실제로 물가상승이 일어나고 연준은 금리를 올릴지 모른다는 시장의 불안감이 그동안 주가를 끌어 내렸던 것이다.

 

그중에 기술주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빠질 것이란 생각이 있었다.

왜냐하면 이렇게 시장금리가 올라가면 비싼 주식을 팔고 차라리 채권으로 들어가 안정적인 수익률을 올릴 것이란 시장의 기대 때문이다.

그래서 그제는 빅테크 뿐 아니라 테슬라마저도 크게 떨어졌었다.

 

그러면 어떤 일이 있을 때 기술주가 올라갈까?

 

금리가 떨어져야 한다.

그래야 천문학적인 돈 풀기가 있어도 금리는 안정적이니 성장하는 기술주로 돈이 꾸준히 몰릴 수 있다.

금리가 떨어져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시장에서 10년 물 미국채를 소화시켜 줘야 한다.

연준에서 100% 다 사는 것 말고 말이다.

연준에서 100% 다 사는 것은 아무도 미국채를 안 산다는 얘기이고 이것은 달러가치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는 얘기이다.

그러면서 달러의 하이퍼인플레이션까지 걱정해야 한다.

그런데 어제 이런 10년 물이 소화되었다.

 

미 재무부는 380억 달러의 10년물 국채를 1.164%에 매각했다. 입찰 당시 시장 수익률인 1.172%보다 낮은 수준에서 발행 금리가 결정됐다. 응찰률은 2.47배로, 6개월 평균인 2.41배보다 높았다. 딜러들이 가져간 물량은 20%에 불과했다. 이날 입찰 규모는 전분기보다 30억 달러, 1년 전보다는 140억 달러나 많았지만, 강한 수요가 확인됐다.

 

10년물 국채를 1.18%보다 낮은 1.164에 매각하면서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빠르게 떨어졌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하락을 하던 기술주들이 상승하며 끝이 났다.

 

애플은 0.14% 소폭하락했고 테슬라는 4.72% 크게 상승했으며 아마존도 0.21% 상승했다.

그러나 페이스북, 트위터는 2% 이상 크게 하락했다.

 

페이스북, 트위터가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정지시키자 SNS 권력을 견제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사회 여러곳에서 나타났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보수 계정을 8만 개 정지시킴으로써 1월 실적 발표에서 2021년 1분기 가이던스가 낮아질 우려가 생겼다.

트래픽이 크게 줄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들 주가는 실적발표 전까지 떨어질 것이며 실적 발표 후 2021년 1분기 가이던스마저 아주 안 좋다면 더 크게 떨어질 것이다.

 

14일 바이든의 천문학적인 부양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미국 10년 물의 국채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떨어진다면 빅테크 주가에는 호재다.

그러나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꾸준히 오른다면 주식에는 악재다.

게다가 이번 회의에서 연준이 테이퍼링 얘기까지 나온다면 주식에는 더 악재다.

 

결론 : 미국채 10년 물 수익률이 중요하다.

 

1) 서브 이슈:

자율주행차 전쟁의 시작은

 

지금까지 가솔린 자동차 회사의 기술력은 어디서 나왔는가?

3만 여개 부품을 잘 돌아가게 하는 제조 기술력에서 나왔다.

지금까지는 사람이 있다는 가정하에 만들어진 기계적인 자동차라는 것이다.

사람이 핸들을 돌리고 브레이크를 밟고 사이드 미러를 보고 주차를 하는 것은 오롯이 사람만이 했다.

즉 자동차의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그런데 자율주행차가 되면서 이러한 조정에 관한 것을 모든 것을 사람이 아닌 자동차가 해야 한다.

자동차가 조종을 스스로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바로 자동차가 운전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전자장치가 되어야 한다.

기계장치는 스스로 생각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스스로 생각을 하려면 어떤 방식이 되어야 하나?

운전에 관한 여러개의 명령을 하나의 칩이 내려야 한다.

사람으로 따지면 뇌와 같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

그러나 뇌만 가지고는 절대 운전을 할 수 없다.

운전을 하는 손에 대한 센서가 필요할 것이고 사이드 미러를 보는 눈에 대한 센서가 필요할 것이고 속도를 높이는 기어를 움직이는 팔에 대한 센서 등등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센서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뇌의 역할을 하는 칩이 필요할 것이다.

이 칩을 통합제어기라고 한다.

 

통합제어기란 ?

 

현대모비스, 커넥티드 통합 제어기 개발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nkey=202006241436381

 

현대모비스, 커넥티드 통합 제어기 개발

 -커넥티드카 구현 위한 핵심 기술 국산화 -자동차 주요 데이터 공유로 다양한 서비스 지원 현대모비스가 커넥티드카 기술의 핵심인 통신기능 통합관리제어기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현

autotimes.hankyung.com

통합관리제어기는 차에 장착한 파워트레인, 멀티미디어, 에어백, 제동장치 등의 각종 전자제어장치(ECU)를 유선통신으로 연결해 다양한 운행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합, 분석한다. 레이더, 라이더, 카메라 등 여러 센서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와 자율주행관련 정보 등의 대용량 데이터도 처리 가능하다.

 

통합제어기를 가장 잘 설계하는 기업이 바로 테슬라다.

그리고 테슬라 이외에도 통합제어기를 제작하는 기업이 엔비디아, 인텔의 모빌아이, 구글의 웨이모 등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자율주행차로 성공을 하려면 통합제어기 성능에 달려있다.

 

그렇다면 지금의 전통적인 자동차기업은 전자장치화 된 통합제어기를 잘 설계할까?

설계하지 못하니 주가가 빌빌 대는 것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통합제어기를 설계하고 실제 양산에 나선 기업은 현재 테슬라가 유일하다.

그리고 얼마전 니오데이에서는 니오가 엔비디아의 칩을 써서 자율주행에 나선다고 했다.

결국 니오도 엔비디아의 통합칩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렇게 보면 크게 자율주행차의 통합제어기 칩을 설계할 수 있는 기업은 테슬라, 엔비디아, 인텔의 자회사인 모빌아이, 구글의 웨이모 정도다.

물론 현대차도 통합제어기를 설계했고 GM, 포드 등도 이 분야에 도전하고 있다.

그러나 주가에서 볼 수 있듯이 지금은 가장 앞서 나가는 것이 바로 테슬라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이러한 자율주행차의 설계능력에 도전할 기업은 어떤 기업인가?

기존의 자동차 기업보다는 IT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애플이 애플카를 만든다는 뉴스가 나왔을 때 주가가 뛰었던 것이다.

WSJ "애플카 빅딜? 제조사엔 독이 든 성배"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11247141

 

WSJ "애플카 빅딜? 제조사엔 독이 든 성배"

WSJ "애플카 빅딜? 제조사엔 독이 든 성배", "ODM 방식 수익성 거의 없어 경쟁사 브랜드만 키워주는 일"

www.hankyung.com

 

애플은 얼마전 M1칩을 스스로 설계해서 맥북에어에 자체 탑재했다.

그러면서 인텔의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맥북에어에 장착된 M1의 장점은 인텔의 칩을 능가한다.

이전의 인텔칩을 장착한 맥북보다 훨씬 빠르고 배터리 소모도 50% 줄었다는 것이다.

 

애플은 M1칩을 스스로 설계하면서 자율주행차의 통합제어칩 설계능력을 간접적으로 보여줬다.

 

아마존 '죽스' 첫 자율주행 택시 공개…양방향 주행에 시속 120㎞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15/2020121502341.html

 

아마존 '죽스' 첫 자율주행 택시 공개…양방향 주행에 시속 120㎞

아마존이 지난 6월 인수한 스타트업 '죽스'(Zoox)가 첫 자율주행 택시(로보택시)를 14일(현지시각) 공개했다.CNBC 방송에 따르면 죽스..

biz.chosun.com

아마존도 지금은 무인배달쪽에 이 차를 쓸 것이라고 했지만 만약 자율주행차를 개발한다면 스스로 통합제어칩을 개발할 것이다.

 

물론 구글의 웨이모도 빼 놓을 수 없다.

 

결론 : 통합제어칩을 스스로 설계하는 빅테크 기업은 자율주행차에 뛰어들 것이고 이들이 모두 뛰어들었을 때 진짜 자율주행차의 전쟁은 시작된다.

 

2) 매뉴얼 :

1. 나스닥 -3% 뜨기 전까지는 세계1등 주식은 떨어져도 팔지 않고 가져 간다.

2. 나스닥 -3%가 뜨면 세계1등의 떨어진 비율을 감안해 남겨 두거나 전량 매도 후 비율대로 말뚝을 박고 한달+1일 기다린다.

 

예를 들어 애플이 전고점 대비 20% 떨어진 지점에서 나스닥 -3%가 떴을 경우 즉 100달러가 전고점이라고 치자

현재 -3%가 떴고 애플은 80달러에 거래 된다면 20%가 떨어진 지점일 것이다.

그러면 100% 전량 매도 하는 것이 아니라 20% 떨어졌다면 5%당 10%씩을 말뚝 박는 것이니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그러니 60%만 매도하고 40%는 남겨두는 것이다.

전량 매도 후 말뚝박기는 100% 전량 매도 후 20% 떨어진 80달러 지점에 자산의 40%를 말뚝 박는 것이다.

 

3)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다가 포모(주식을 판 가격보다 오를 것에 대한 두려움)가 두렵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고 -3%때 판 가격보다 단 1불이라도 떨어졌다면 전량 매수하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www.youtube.com/watch?v=h4hkBNfsV2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