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투자 매뉴얼 : 앞으로도 공황은 필연적

투자 매뉴얼

https://iot-lab.tistory.com/70

 

내일의 부 - 투자 매뉴얼

내일의 부 책을 읽고 저자가 얘기하는 매뉴얼대로 투자를 할려고 투자 매뉴얼을 정리해봅니다. 결국 가장 좋은 선택은 미국 주식이다. 그것도 전세계 시가총액 1등 주식이다. 주가는 올라가고 ��

iot-lab.tistory.com

공황  종료

2021년 4월 19일 까지 추가 -3%가 뜨지않아 공황 종료됨

날짜 종가 상승률
2021년 7월 22일 14,684.6 0.36%
2021년 7월 23일 14,837.0 1.04%
2021년 7월 26일 14,840.7 0.03%
2021년 7월 27일 14,660.6 -1.21%
2021년 7월 28일 14,762.6 0.70%
2021년 7월 29일 14,778.3 0.11%
2021년 7월 30일 14,672.7 -0.71%
2021년 8월 2일 14,681.1 0.06%
2021년 8월 3일 14,761.3
0.55%
2021년 8월 4일 14,780.5
0.13%
2021년 8월 5일 14,835.8 -0.40%

★★★마지막 -3% 시점

날짜 종가 하락율
2021년 3월 18일 13,116.17 -3.02%

공황이 끝나는 시점

  • 2021년 4월 19일

-30% 지점

  • 나스닥 6872.03p 지점에서 매수

현재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1위 애플과 2,3위의 시가총액이 10%이상 차이나면 애플 주식만 가져가는 것이 매뉴얼임

(계산법) : (1등 주식 - 2등 주식) / 1등 주식

조던의 생각

출처 JD부자연구소 카페 : http://cafe.daum.net/jordan777

 

JD 부자연구소

부동산 및 해외 주식 넘버1카페

cafe.daum.net


앞으로도 공황은 필연적

 

<뉴욕마켓워치> 7월 비농업 일자리에 촉각…주가↑국채↓달러 보합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1306 

 

<뉴욕마켓워치> 7월 비농업 일자리에 촉각…주가↑국채↓달러 보합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국제경제부 = 5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7월 고용 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주간 실업 지표가 개선되면서 상승했다. S&P500지수는 또다시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1.58포인트(0.78%) 오른 35,064.2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44포인트(0.60%) 상승한 4,429.10을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4.58포인트(0.78%) 오른 14,895.12로 장을 마감했다.

 

어제 나스닥은 0.78%, S&P500지수는 0.6%, 다우존스 지수는 078% 올랐다.

S&P와 나스닥은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메인 이슈 : 고용보고서 앞두고 낙관적 전망

 

지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38만5천 명으로 전주 대비 1만4천 명 줄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와 동일하다. 델타 변이의 확산에도 주간 실업 보험 청구자 수는 2주 연속 감소했다.

 

주간 실업 보험 청구자수가 2주 연속 줄었다.

주식시장은 호재로 받아들였다.

경기민감주와 빅테크 성장주 모두 올랐다.

 

현지시간 6일에 나오는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에 대한 월가 예상치는 84만5천명 증가다.

실업률 예상치는 5.7%다.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nonfarm-payrolls-227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비농업고용지수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오늘 한국시간 9시30분에 발표되는 비농업 부문고용은 84만5천명이다.

이것이 앞으로 주가에 영향을 줄 것이다.

월러는 80만 명 이상을 예상하고 이번과 다음 달 비농업 부문 고용이 80만명 씩 2번 160만 명이 넘어가면 테이퍼링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골드만삭스는 S&P500지수의 전망치를 4300에서 4700으로 올렸다.

상장 기업들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과 예상보다 낮아진 금리로 인해 주가가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의 예상대로 주가가 올라갈지 아니면 떨어질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오늘 80만 명의 비농업부문 고용 보고서가 나왔을 때 내일 나스닥 지수의 종가를 보면 된다.

 

경제에 영향을 주는 지표가 나왔을 때 주식시장의 반응을 보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1. 80만 명 이상의 고용이 나왔을 때

결과 - 나스닥 상승

고용률 올라가면서 테이퍼링, 금리상승 보다는 경제재개로 인한 과실이 더크다고 판단 기술주에 좋음.

 

2. 80만 명 이상의 고용이 나왔을 때

결과 - 나스닥 하락

고용률이 올라가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로 테이퍼링과 금리상승의 우려로 기술주 약세

 

3. 80만 명 이하로 고용이 나왔을 때

결과 - 나스닥 상승

고용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인플레이션 우려는 잠잠해지고 테이퍼링, 금리상승의 걱정이 덜어지면서 채권수익률 하락은 기술주 강세를 이끔

 

4. 80만 명 이하로 고용이 나왔을 때

결과 - 나스닥 하락

얼마나 경제가 안 좋았으면 고용률이 떨어질까? 

테이퍼링 우려는 덜었지만 경기침체 우려.

 

한 마디로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다.

시황은 고용률이라는 현상과 주가의 결과를 보고 사후 해석이라는 뜻이다.

 

결론 : 고용률 지표가 나오고 수치에 관계없이 내일 아침 나스닥이 올라가면 좋은 것이다.

 

1) 서브 이슈 : 앞으로도 공황은 필연적

 

2008년 금융위기를 비롯한 위기의 시작은 대부분 민간은행이다.

민간은행은 감당 못할 대출을 실행했고 그것이 채무불이행으로 부실자산으로 변했다.

예를 들어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준 것인데 주택가격이 올라가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대출이자를 갚지 못하고 원금상환이 들어오기 때문에 개인 파산에 이어 은행까지 파산을 한다는 얘기다.

그러니 대부분의 위기는 민간은행에서 금융위기가 시작되었고 그로인해 경제공황이 온다는 얘기다.

 

자본주의의 논리라면 경제위기가 닥치면 민간은행은 진작에 파산을 했어야 했다.

그러나 은행이 파산하면 자본주의의 근간이 흔들린다.

돈을 공급할 주체가 없기 때문에 돈이 돌지 않고 경제가 멈춰버린다.

경제가 멈추면 기업은 돈을 구할 수 없고 기업의 자산을 팔아서 돈을 만들거나 해고를 통해서 고정비를 줄인다.

그래서 2020년 코로나 위기 때 주가도 떨어지고 채권도 떨어지고 심지어 금값도 떨어진 것이 기업이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모든 자산을 다 팔아제껴서 그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위기는 어떻게 극복했나? 

2008년 이전에는 경제위기가 아주 오래갔다.

왜냐하면 중앙은행이 은행을 도와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1929년 대공황은 주가의 전고점을 회복하는데 무려 30년이 걸렸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앙은행은 양적완화를 통해 은행을 살렸고 그로인해 경제도 아주 빠르게 회복 되었다.

2020년 코로나 위기는 3개월에 전고점을 회복했다. 

중앙은행이 은행을 살리는 방식은 간단하다.

연준이 은행의 부실자산(주로 채권 등)을 사주면 된다.

은행의 부실자산은 연준에서 해당 은행계좌에 컴퓨터로 숫자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치면 대규모 지급준비금이 들어간다.

이로써 은행은 막대한 지급준비금을 갖게 된다.

그리고 막대한 돈을 확보한 은행의 위기는 끝이 난다.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중앙은행으로부터 언제든지 현금을 빼 내 쓸 수 있는 돈을 말한다.

 

그러나 은행의 위기가 끝이 난 것이지 경제의 위기가 끝난 것은 아니다.

은행은 위기 이후이니 은행이 가지고 있는 지급준비금을 토대로 아주 까다롭게 화폐를 시장에 유통한다.

소위 신용창출이라는 것인데 은행이 10의 지급준비금을 가지고 있다면 90까지는 돈을 찍어 낼 수 있다.

신용창출로 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주체는 민간은행 뿐이다.

 

중앙은행도 돈을 찍어 낼 수 있지만 중앙은행은 은행과만 거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사람 누구도 한국은행에서 돈 빌린 사람 없다.

대부분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린다.

중앙은행은 민간은행을 통해서만 돈을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급한 돈을 지급준비금이라고 한다.

 

정부도 돈을 찍어 낼 수 있지만 이런 돈은 현대 경제학에서 인정되지 않는다.

정부가 부채가 없이 찍어 낸 돈은 공공통화라고 하는데 이렇게 찍어내는 선진국은 없다.

정부가 돈을 찍어 내는 방식은 세금과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부채로만 찍어 낼 수 있다.

 

결론은 돈을 찍어내는 주체는 민간은행뿐이라는 것이다.

 

민간은행이 돈을 찍어내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

부동산 거품, 주식 거품 등 실물자산의 거품이 생긴다.

2000년 닷컴버블, 2008년 금융위기 등이 주식, 부동산 버블의 대표적인 예다.

부동산 버블이 생기려면 반드시 돈을 대주는 주체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은행이다.

은행이 부동산 가격이 너무 올랐다 생각하면 안 빌려주면 거품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민간은행은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이다.

따라서 이윤만 있다면 무조건 대출을 해준다.

사실 무조건은 아니다.

대출 신청을 하는 고객의 신용을 평가해서 그중에서 대출을 갚을만한 능력이 있는 고객에게 대출 할당을 해준다.

그런데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부동산 가격의 적정성은 고려치않고 가격에 비례해 일정액을 빌려준다.

따라서 갑자기 부동산 가격이 급락이라도 한다면 대부분의 부동산은 우량자산에서 부실자산이 된다.

그리고 그 규모가 크다면 2008년도와 같은 은행발 금융위기가 터지는 것이다. 

 

저금리·공급부족에…미 집값 34년 만에 최고 상승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1001490.html

 

저금리·공급부족에…미 집값 34년 만에 최고 상승

케이스-실러 지수, 4월 13.3% 뛰어 2000년대 초반보다 상승세 가팔라

www.hani.co.kr

미국 주택가격이 3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미국의 주택가격지수인 에스앤피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전국 주택가격지수는 4월에 전달에 비해 연율로 13.3%가 올랐다고 <월스트리트 저널>과 <파이낸셜 타임스> 등이 29일 보도했다. 이런 상승세는 1987년 이후 최고치다. 또 이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4.6% 올랐다.

 

'주택가격이 역대 최대다'라고 하는 것은 '주택가격이 치솟았다' 라는 말이다.

따라서 가격이 급락이라도 한다면 부동산은 부실자산이 되어 은행의 부실로 이어지고 경제적으로 공황이 온다는 얘기와 다름없다.

그렇다고 올라가는 주택에 담보대출 안 해줄 민간은행은 없으니 위험은 상존한다는 얘기다.

 

결론 : 민간은행만이 돈을 찍어 내는 한 경제공황은 주기적으로 온다.

 

1) 매뉴얼 :

1. 세계1등 주식은 전고점대비 -2.5% 떨어질 때마다 10%씩 팔면서 리밸런싱을 하다가 나스닥 -3%가 뜨면 말뚝을 박는다.

자세한 내용은 제이디부자연구소 다음카페를 참조하라.

 

2)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다가 포모(주식을 판 가격보다 오를 것에 대한 두려움)가 두렵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고 -3%때 판 가격이나 리밸런싱 때 판 가격보다 단 1불이라도 떨어졌다면 전량 매수하라.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JD부자연구소 인강 사이트 (구글에서 제이디 부자연구소 검색)

PC URL : https://www.jordan777.com/main/index.jsp

 

JD부자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JN8yfW2p6Gd8-wZ04pGAkg